학령전기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과 이해능력

목적: 이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과 이해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말소리장애를 Dodd(1995)가 제시한 오류패턴의 하위 유형 중 음운발달 지연 대상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음운 작업기억과 이해능력을 정상발달 아동과 비교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에는 5-6세 말소리장애 아동 12명과 동일 연령 정상발달 아동이 참여하였다. 참가 아동들을 대상으로 음운 단기기억을 알아보기 위해 단어 선행지적과제와 음운 작업기억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어 후행지적, 숫자거꾸로 따라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이해능력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9; no. 4; pp. 79 - 87
Main Authors 윤영아(Yeong A Yun), 이지윤(Ji Yu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0.29.4.0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이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과 이해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말소리장애를 Dodd(1995)가 제시한 오류패턴의 하위 유형 중 음운발달 지연 대상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음운 작업기억과 이해능력을 정상발달 아동과 비교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에는 5-6세 말소리장애 아동 12명과 동일 연령 정상발달 아동이 참여하였다. 참가 아동들을 대상으로 음운 단기기억을 알아보기 위해 단어 선행지적과제와 음운 작업기억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어 후행지적, 숫자거꾸로 따라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이해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실적 정보이해과제, 텍스트 연결추론과제, 빠진 정보추론 과제를 실시하였다. 또한 음운 작업기억과 이해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음운 단기기억은 말소리장애 집단이 정상발달 아동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고, 음운 작업기억과제에서도 단어 후행 지적 과제와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 과제 모두에서 두 집단의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이해과제에서 사실적 정보이해과제 수행에서 통계적으로 두 집단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텍스트 연결추론 및 빠진 정보추론 과제에서는 말소리장애 집단이 정상발달 아동집단에 비하여 수행력이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운 작업기억과 이해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텍스트 연결추론 및 빠진 정보추론 과제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 연구결과는 정상발달 아동과 비교하여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수행 능력이 낮으며 이는 이야기 이해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 음운기억과 이해과제 간 관련지어 학령전기 말소리장애 아동에게 이에 대한 평가와 중재가 임상에서 필요하다는 것을 밝히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onological memory and comprehension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est children with phonological delay according to the error patterns suggested by Dodd (1995) and compared their phonological memory and comprehension ability with that of normal children’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 aged between 5 and 6, and 12 normal children of the same age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subjects’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forward pointing of the words was implemented and reverse pointing of the words/digital span. Results: First, the speech sound disorder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honological performance than the normal group in terms of the short-term memory. And the two groups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reverse pointing of the words and backward digital span. Second, in the literal information understanding among the story comprehension task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comprehension 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literal information comprehension,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ext-connection inference and gap-filling information inference was significa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lign with views tha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 performing less well in terms of phonological memory and that they have problems maintaining and manipulating phonological information. In addition,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phonological memory ability for clinical intervention in speech sound disorder pre-schooler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0.29.4.0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