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칭 후 발생한 통증의 남녀 차이 및 시간에 따른 감소
운동 중 발생하는 근육의 반복적 강한 수축과 이완은 근힘줄단위에 큰 장력을 유발하며, 이는 근 조직에 기계적 스트레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근 조직에 발생한 과도한 신장 스트레스는 통증을 일으킨다. 이때 남녀의 초기 통증 반응 차이 및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한 이해가 임상에서 필요하다. 측정된 통증의 평균값은 전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다소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남녀 모두스트레칭 직후 측정된 값이 1일 차에 큰 폭의 감소를 했으며, 이후 감소 폭은 둔화하였다. 유연성 향상과 양적 통증 값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Saved in:
Published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7; no. 2; pp. 146 - 15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스트레스학회
01.06.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9.27.2.146 |
Cover
Summary: | 운동 중 발생하는 근육의 반복적 강한 수축과 이완은 근힘줄단위에 큰 장력을 유발하며, 이는 근 조직에 기계적 스트레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근 조직에 발생한 과도한 신장 스트레스는 통증을 일으킨다.
이때 남녀의 초기 통증 반응 차이 및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한 이해가 임상에서 필요하다. 측정된 통증의 평균값은 전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다소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남녀 모두스트레칭 직후 측정된 값이 1일 차에 큰 폭의 감소를 했으며, 이후 감소 폭은 둔화하였다. 유연성 향상과 양적 통증 값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장력에 의해 근 조직에 발생한 통증은 남녀 간 차이가 없거나 경미함을 의미한다. 통증은 개인의 특성 외 부가적인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 Repeated strong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muscles during exercise can cause tension in the muscle tendon unit. The physical stress caused by tension on muscle tissue is closely linked to pain. This study evaluated sex differences in pain after stretching of hamstring muscles and the decrease in pain over time.
Methods: Hamstring flexibility was measured with an active knee extension test before and after stretching. Pain wa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immediately after stretching, on day 1, and day 2.
Results: Pain reported by men was higher than that reported by wome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pain reported by both men and wom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day 1, with a smaller decrease on day 2.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in flexibility and pain.
Conclusions: Pain did not differ between men and women. Additionally, pain was not simply determined by intensity of stretch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ther factors must also be considered.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17547/kjsr.2019.27.2.146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9.27.2.1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