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경기분석을 위한 선수위치 측정도구 차이검증
이 연구는 축구 선수의 위치측정을 위해서 사용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정장비와 이미지프로세싱기반(Image processing based) 측정장비를 통해 수집되는 측정자료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3가지 속도변인(걷기, 러닝, 스프린트)과 4가지 움직임변인(직선, 지그재그, 점프, 점진적 움직임)의조합으로 이루어진 측정조건에 대해서 3명의 실험대상자가 총 3차례의 측정을 거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두 가지 측정장비의 자료수집시점(GPS: 10Hz...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21; no. 2; pp. 1 - 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6.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이 연구는 축구 선수의 위치측정을 위해서 사용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정장비와 이미지프로세싱기반(Image processing based) 측정장비를 통해 수집되는 측정자료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3가지 속도변인(걷기, 러닝, 스프린트)과 4가지 움직임변인(직선, 지그재그, 점프, 점진적 움직임)의조합으로 이루어진 측정조건에 대해서 3명의 실험대상자가 총 3차례의 측정을 거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두 가지 측정장비의 자료수집시점(GPS: 10Hz, 이미지기반: 60Hz)을 고려하여 0.2초 간 위치의 변화를 거리(m)로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GPS와 이미지기반 위치측정 자료의 차이검증 결과를 분석한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GPS와 이미지기반 측정 장비를 통해 측정된 자료 간에는 움직임이 복잡해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둘째, GPS와 이미지기반 측정 장비를 통해 측정된 자료 간에는 움직임의 속도가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GPS 장비와 이미지기반 위치측정 장비에 대한차이를 고려하여 스포츠현장에서 사용되는 위치측정 자료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fferences of measured data by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based system for the measurement of positioning soccer players. For this study, 3 variables relating to speed (walking, running and sprinting) and 4 variables relating to types of movement (straight, ZigZag, jumping, and increasing movement) were selected and combined into 12 combinational condition for the measurement. Totally, 3 subjects were involved in 3 trails of measurement. All collected data was synchronized and collected different positions by distance (meters) within 0.2 second interval even though GPS had 10 Hz and Image processing based system had 60 Hz data collecting interval. The summarized result through this study was as following be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PS and Image processing based system when the types of movement was getting complexively changed.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PS and Image processing based system when the speed of movement was getting increased. Consequently, further research has been requir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data collected based on the positioning with GPS or Image processing based system has to be acceptable with differences of system’s characteristic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19.21.2.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