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통합학급의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 수용태도 및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초등 통합학급의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 수용태도 및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 3학년 한 학급의 비장애학생 22명과 통합된 장애학생 1명이었다.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에 20회기로 구성된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각 장애공감 활동은 공감의 인지적 요소, 정서적 요소 및 표현적 요소를 포함하여 짝 활동, 모둠 활동, 학급활동 등 장애학생과 비장애...
Saved in:
Published in | 특수교육논총 Vol. 35; no. 3; pp. 45 - 6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12.2019
특수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19.12.35.3.45 |
Cover
Summary: | 연구목적: 초등 통합학급의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 수용태도 및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 3학년 한 학급의 비장애학생 22명과 통합된 장애학생 1명이었다.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에 20회기로 구성된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각 장애공감 활동은 공감의 인지적 요소, 정서적 요소 및 표현적 요소를 포함하여 짝 활동, 모둠 활동, 학급활동 등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함께 어울리는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 실시 후에 비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수용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 실시 후에 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수업참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초등 통합학급의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 수용태도 및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수업참여도를 향상시키므로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사회적 통합교육을 위하여 장애공감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ctivity program for disability empathy on the empathy competence and attitudes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of non-disabled students and the school adapt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a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22 non-disabled students and one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a third grade elementary inclusive class located in Daejeon. Twenty two non-disabled students evaluated the school adapt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ata of the empathy competence and attitudes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of non-disabled students were collected by the self-report instruments. The 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implemented for analyzing the data. Result: First, the empathy competence and attitudes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of non-disabled students were improved by an activity program for disability empathy. Second. the school adapt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improved by an activity program for disability empathy. Conclusion: An activity program for disability empath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non-disabled students and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us, a disability empathy program is needed for successful social inclus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19.12.35.3.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