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물계약 개념의 유래와 현행법상 요물계약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

우리 민법은 전형계약 가운데 과거 구민법 아래서 로마법의 전통에 따라 요물계약이던 것을 모두 낙성계약으로 전환시켰다. 최근 외국의 입법동향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경향에 반해 다수설과 판례는 대물변제와 계약금계약을 요물계약으로 본다. 요물계약설에서는 계약을 채권관계를 발생시키는 합의에 한정하지 않고, 널리 법률관계의 발생, 변경, 소멸이라는 효과를 가져 오는 당사자의 합의로 이해한다. 여기에는 채권계약 이외에도 물권계약, 준물권계약, 가족법상 계약, 해제권유보약정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요물계약 개념의 시초인 로마 고전법에 따르면 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법사학연구 no. 53; pp. 233 - 262
Main Author 정병호(Jung, Byoung 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법사학회 01.04.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우리 민법은 전형계약 가운데 과거 구민법 아래서 로마법의 전통에 따라 요물계약이던 것을 모두 낙성계약으로 전환시켰다. 최근 외국의 입법동향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경향에 반해 다수설과 판례는 대물변제와 계약금계약을 요물계약으로 본다. 요물계약설에서는 계약을 채권관계를 발생시키는 합의에 한정하지 않고, 널리 법률관계의 발생, 변경, 소멸이라는 효과를 가져 오는 당사자의 합의로 이해한다. 여기에는 채권계약 이외에도 물권계약, 준물권계약, 가족법상 계약, 해제권유보약정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요물계약 개념의 시초인 로마 고전법에 따르면 계약은 채권관계를 발생시키는 합의에 한정되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요물계약설에 대해서는, 우선 요물계약으로 구성해야 할 법정책적인 필요가 있는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로마법 상 요물계약을 둔 정책적 이유에 대한 탐구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무이자소비대차, 사용대차, 무상임치는 대체로 가까운 사이에서 성립한다. 이런 관계에서는 情誼에 의해 쉽게 금전이나 물건을 빌려주거나 맡아주기로 약속할 수 있는데, 이런 약속에 기초하여 약속의 이행을 청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으로 추측된다. 대물변제와 계약금계약(또는 약정)의 경우에 요물계약이라는 구성이 불가피한지도 의문이다. 그러나 대물변제를 계약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그와 관련한 법률문제를 설명할 수 있다면, 굳이 채권발생의 한 원인이라는 전통적인 계약 개념을 벗어나 채무변제라는 법률효과에 대한 합의까지 계약의 개념에 포함시키고, 계약의 현대적 경향에 거슬려 요물계약 및 그 예약이라는 복잡한 구성을 하여야 하는지 의문이다. 그리고 계약금계약(또는 약정)을 낙성계약이 아니라, 요물계약으로 구성하면 해약 가능 여부가 계약금을 지급하기로 한 자의 자의에 의존하게 되는 불합리한 결과가 초래된다. 요컨대 낙성계약이 원칙이 된 현행법에서 요물계약이란 개념을 전통적인 맥락과 거리가 있는 사안에 적용하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계약의 본질이 합의인 이상 전통적인 채권계약의 의미 이외에 물권계약, 해제권유보약정, 채무변경계약 등 당사자의 합의에 의해 법률관계가 형성되는 경우에 계약이란 용어를 넓게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나 이처럼 채권계약 이외의 계약에 대해서까지 전통적으로 채권계약의 한 유형이었던 요물계약과 결합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Das koreansiche BGB faßt alle Realverträge nach römischer Tradition als Kosensualverträge auf. Das entspricht der Tendenz der modernen Kodifikationen. Trotzdem ist Meinung vorwiegend, daß die Zahlung an Erfüllungs statt und der Rücktrittsvorbehalt gegen Reugeld Realvertrag seien. Der Realvertagstheorie ist nicht beizupflichten. Sie versteht unter dem Vertrag nicht nur den traditionellen Schuldvertrag, sondern alle Vereinbarungen, die ein Rechtsverhältnis entstehen lässt, verändert und erlischt, z.B. sachenrechtlicher Vertrag, Forderungsabtretung, familienrechtliche r Vertrag, Rücktrittsvorbehalt, Zahlung an Erfüllung statt. Aber das klassische römische Recht hat den Begriff contractus, d.h. Vertrag auf die Schuldverhältnis erzeugende Vereinbarungbeschränkt. Zu überprüfen ist auch die rechtspolitische Nötigkeitder Annahme des Realvertrags. Hilfreich ist die Erwägung des Grundes dafür, warum die Römer für das Zustandekomen eines Realvertrages die Sachhingabe erforderte. Unverzinsliches Darlehen, Leihe und unentgeltliche Verwahrung kommen nach wie vor zwischen Nahestehden wie Verwandten oder Freunden zustande. In solchenVerhältnissen versprach man sich gewöhnlich leicht darzuleihen, zu verleihen und zu verwahren. Man dachte es nicht als angemessen, die versprochene Sachhingabe einzuklagen. Es ist fraglich, die Zahlung an Erfüllungs statt und den Rücktrittsvorbehalt gegen Reugeld im koreansichen Zivilrecht als Realvertrag aufzufassen. Denn ohne komplizierte Konstruktion des Real- und Vorvertrages sind die Rechtsfragen bezüglich der Zahlung Erfüllungs statt nicht schwer zu lösen. Die Realvertragstheorie für den Rücktrittsvorbehalt gegen Reugeld macht das Rücktrittsrecht von der Willkür des Reugeldgebers abhängig, was ungerecht ist. Es ist nicht angebracht, den traditionell als Schuldvertrag aufgefaßten Realvertrag mit außerschuldvertraglichen Verhältnissen wie der Zahlung an Erfüllungs statt und dem Rücktrittsvorbehalt gegen Reugeld zu verbinden.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001302.2016..53.001
ISSN:1226-2773
2671-8480
DOI:10.31778/lawhis..53.201605.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