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이)라고는’의 사전적 처리

본고의 목적은 ‘(이)라고는’을 국내 사전들에서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라고는’의 바람직한 사전 기술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기존 사전들을 분석함으로써 표제어 등재, 형식 정보, 의미 정보라는 세 가지 차원의 문제를 도출하였고 말뭉치 자료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라고는’은 ‘(이)라고’와 별도의 표제어로 등재해야 하고, ‘(이)라고는’의 의미 항목은 형식과 의미에 따라 둘로 나누어 기술해야 한다. 둘째, 본고에서는 말뭉치 자료를 통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사전학 no. 39; pp. 7 - 47
Main Author 전후민(Jeon, Hum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사전학회 01.05.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고의 목적은 ‘(이)라고는’을 국내 사전들에서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라고는’의 바람직한 사전 기술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기존 사전들을 분석함으로써 표제어 등재, 형식 정보, 의미 정보라는 세 가지 차원의 문제를 도출하였고 말뭉치 자료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라고는’은 ‘(이)라고’와 별도의 표제어로 등재해야 하고, ‘(이)라고는’의 의미 항목은 형식과 의미에 따라 둘로 나누어 기술해야 한다. 둘째, 본고에서는 말뭉치 자료를 통해 기존 사전의 부정확하거나 부족한 형식 정보를 보완하되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형식 정보는 뜻풀이에서, 수의적이거나 빈도가 낮은 정보는 참고 정보로 제시하였다. 셋째, 본고에서는 기존 사전들이 ‘(이)라고는’의 의미적 특성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라고는’의 의미 정보에 있어서 핵심은 ‘(이)라고는’이 집합과 원소 혹은 범주와 구성원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국내에도 구문 사전에 대한 논의 및 기술 방법론의 도입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Korean dictionaries handle (i)lakonun, raise problems about the present dictionary descriptions of (i)lakonun, and propose a desirable dictionary descriptive model for (i)lakonun.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ome dictionaries dealt with (i)lakonun in (i)lako entry, but (i)lakonun should be separated from (i)lako. Also, (i)lakonun should be divided into (i)lakonun1 and (i)lakonun2 according to their forms and meanings. Second, there were quite a few inaccurate or insufficient inform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rmal information of (i)lakonun presented in the existing dictionaries through actual corpus data.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essential and core formal information is presented in definition and optional or infrequent information is presented as reference information. Third, the existing dictionaries do not properly reveal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i)lakonun. The key to the semantic information of (i)lakonun is that (i)lakonun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t and an element or a category and a member.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argued that it is needed to discuss and introduce a description methodology of constructicography in Korean.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8694
2671-5546
DOI:10.33641/kolex.2022..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