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마음이론과 정보처리 및 언어능력 간의 관계

목적 : 이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마음이론과 정보처리 및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알아보고 마음이론이 사용하는 언어체계와 정보처리 용량이 단순언어장애와 생활연령일치 및언어연령일치 일반 아동 집단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비언어적 과제를활용하였을 때, 마음이론 수행력과 정보처리 능력과의 상관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들 능력과언어능력과의 연관성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에는 만 3-6세의단순언어장애 아동 13명과 이들 집단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7명,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언어연령...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8; no. 4; pp. 101 - 110
Main Authors 이수연(Su Yeon Lee), 임동선(Dong Sun Y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9.28.4.1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이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마음이론과 정보처리 및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알아보고 마음이론이 사용하는 언어체계와 정보처리 용량이 단순언어장애와 생활연령일치 및언어연령일치 일반 아동 집단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비언어적 과제를활용하였을 때, 마음이론 수행력과 정보처리 능력과의 상관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들 능력과언어능력과의 연관성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에는 만 3-6세의단순언어장애 아동 13명과 이들 집단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7명,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1명으로 총 41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과제는비구어 과제로 마음이론의 과제 중 틀린 믿음의 수행력을 보기 위해 두플로 과제에 단계를추가하여 사용하였고, 정보처리용량 과제로 매트릭스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 첫째, 마음이론과제 수행력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생활연령일치뿐만 아니라 언어연령일치 일반 아동에 비해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둘째, 생활연령일치, 언어연령일치 일반 아동집단에서 마음이론과 매트릭스 수행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역순 매트릭스 수행력은 수용언어능력과 표현언어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예측요인이다. 생활연령일치 일반 아동의 정순 매트릭스 수행력은 표현언어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예측요인이다. 하지만 언어연령일치 일반 아동 집단에서 언어능력을 예측하는 요인은 나타나지않았다. 결론 :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것 같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 및언어연령일치 일반 아동과 마음이론 이해 및 수행력에 있어 다른 양상을 보인다.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의 이런 특성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에 결함이 존재하며 마음이론을 사용하는언어 체계와 정보처리 용량이 비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show deficits when performing nonlinguistic false belief task, processing task,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of nonlinguistic false belief task, non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ing task(processing capacity) and language ability differ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LI. Methods : Forty-one children (SLI=13, CA=17, LA=11) aged between three to six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Duplo blocks to examine theory of mind, and matrix forward (Matrix_F) and backward (Matrix_B) tasks to examine nonlinguistic processing capacity. Results : First, SLI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false belief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SLI were poorer in the false belief task compared with chronological age-matched children as well as with language-ability matched childre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lse belief task and matrix performance in each CA and LA group. Third, SLI group’s best predictor of receptive & expressive language ability was matrix performance, CA group’s best predictor of expressive language ability was matrix_forward performance but there was none for LA group. Conclusions :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 with SLI have different aspects in understanding theory of mind and carrying out the given tasks in theory of mind from CA and LA children. This characteristic of SLI group suggests that there is a deficiency in the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with SLI and that the language system and visual processing capacity using theory of mind work inefficiently.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9.28.4.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