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아동의 메타언어 특성

본 연구에서는 언어의 자동화된 인식과정인 메타언어 수행과제를 살펴보기 위해 학령기 1,2,3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아동 8명, 8명, 5명과 일반 아동 각 10명씩 총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언어 세부과제 중 어울리는 단어 찾기, 사실․거짓 판단하기, 문장 수정하기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어울리는 단어 찾기에서 학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장 수정하기 과제의 경우 학령 간 및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령기에 접어든 다문화가정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18; no. 4; pp. 139 - 150
Main Authors 권미지(Mi Ji Kwon), 석동일(Dong il Se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2.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09.18.4.00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언어의 자동화된 인식과정인 메타언어 수행과제를 살펴보기 위해 학령기 1,2,3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아동 8명, 8명, 5명과 일반 아동 각 10명씩 총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언어 세부과제 중 어울리는 단어 찾기, 사실․거짓 판단하기, 문장 수정하기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어울리는 단어 찾기에서 학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장 수정하기 과제의 경우 학령 간 및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령기에 접어든 다문화가정들 아동들의 메타언어 발달기준을 제시하여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metalanguag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fty-one subjects consisting of multicultural and monocultural children between elementary school grades one and three were chosen. This study examined matching words, judgement of true and false, and determining correct sent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in matching words. Seco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irst to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ulticultural and monocultural children in the judgement of true and false.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irst to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ulticultural and monocultural children in determining correct sentences. KCI Citation Count: 15
Bibliography:G704-000939.2009.18.4.001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09.18.4.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