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빅데이터의 키워드 분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복합명사 추출 방법

소셜 빅데이터는 신조어나 고유명사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을 처리하기 위해 단어별출현 빈도수를 기반으로 한 통계적인 형태소 분석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복합 명사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 키워드 추출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빅데이터의 키워드 분석에 있어 복합 명사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형태소 분석 단계를 통해 얻어진 단어를 조합하여 복합 명사 후보군을 만들고, 주어진 리뷰에서 이들의 출현 빈도를 조사하여 얻어진 빈도수를 기반으로 복합...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6; no. 8; pp. 55 - 63
Main Author 김현규(Hyeon Gyu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8.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소셜 빅데이터는 신조어나 고유명사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을 처리하기 위해 단어별출현 빈도수를 기반으로 한 통계적인 형태소 분석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복합 명사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 키워드 추출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빅데이터의 키워드 분석에 있어 복합 명사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형태소 분석 단계를 통해 얻어진 단어를 조합하여 복합 명사 후보군을 만들고, 주어진 리뷰에서 이들의 출현 빈도를 조사하여 얻어진 빈도수를 기반으로 복합 명사를 추출한다. 복합 명사 후보군을 구성하는 방법에 따라 두 가지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각 알고리즘의 성능을 수식으로 표현하고 비교한다. 그리고 온라인에서 수집된 실제 데이터를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비교 결과를 검증하는 동시에, 제안 방법이 실시간 처리에도 적합함을 보여준다. Since social big data often includes new words or proper nouns, statistical morphological analysis methods have been widely used to process them properly which are based 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ch word. However, these methods do not properly recognize compound nouns, and thus have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f keyword extraction is lowered.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extract compound nouns in keyword analysis of social big data. The proposed method creates a candidate group of compound nouns by combining the words obtained through the morphological analysis step, and extracts compound nouns by examining their frequency of appearance in a given review. Two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candidate group, and the performance of each algorithm is expressed and compared with formulas. The comparison result i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on real data collected online, where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itable for real-time processing.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1.26.08.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