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이야기 산출에서 나타난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 특성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산출에서 종결어미 사용이 적고,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을 포함한이야기의 사용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 일반아동 70명에서 글자 없는 그림책으로 회상산출이나 자발산출을하도록 요구하였다. 이야기 샘플을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의 포함 정도에 따라 다음의 3가지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이 포함된 유형(1유형),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 하나로이뤄진 유형(2유형), 종결어미 사용 유형(3유형). 이야기 샘플에서 총 음절 수, 총 절 수, 종결어미 수, 접속부사의 수, 자가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30; no. 1; pp. 59 - 69
Main Author 곽미영(Mi Yeong Kwa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1.30.1.059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산출에서 종결어미 사용이 적고,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을 포함한이야기의 사용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 일반아동 70명에서 글자 없는 그림책으로 회상산출이나 자발산출을하도록 요구하였다. 이야기 샘플을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의 포함 정도에 따라 다음의 3가지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이 포함된 유형(1유형),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 하나로이뤄진 유형(2유형), 종결어미 사용 유형(3유형). 이야기 샘플에서 총 음절 수, 총 절 수, 종결어미 수, 접속부사의 수, 자가수정한 수, 삽입어 빈도 수를 측정하고 유형간 차이를비교하였다. 그리고 산출과제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2유형이 3유형보다 총 음절수가 적고, 산출시간이 짧고, 접속부사의 수가 적었다. 문장 당절의 수에서 2유형> 1유형> 3유형의 순서로 복잡하였다. 3유형은 문장 당 평균 2.51개의 절을산출하였다. 1, 2유형의 아동은 3유형보다 더 적은 접속부사와 더 많은 연결어미를 산출하였다. 1유형과 2유형의 아동이 산출한 이야기의 전개영역에서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이 나타났다.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 내에 다양한 연결어미와 접속부사, 삽입어 등이 나타났다. 자발산출보다회상산출에서 음절, 절의 산출 더 많았지만 문장, 접속부사, 연결어미의 수는 유의한 차이가없었다. 결론: 지나치게 길어진 문장은 개인의 특성이 반영되었다. 언어샘플 분석 시에 접속부사와 연결어미, 삽입어(‘어’, ‘음’, ‘-요’), 순행반복, 휴지, 억양 등이 문장 경계 표지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지나치게 길어진 문장은 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부담을 준다. 아동이 적절한 길이의 정확한 문장을사용하도록 지도할 수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tence use patterns that have a few final ending and include lengthy speech in stories. Methods : Story retelling or telling of a wordless picture book samples were elicited from 7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grades 1–3. Story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type of lengthy speech: the type containing a lengthy speech (Type 1), the type was a lengthy speech (Type 2), and the type with more final endings (Type 3). This study measured the frequency of syllables/clauses/final endings/conjunction/self-correction in the samples and compared differences between types.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and telling tasks were analyzed. Results : Type 2 had fewer syllables, a shorter duration, and fewer conjunctions than Type 3. The number of clauses per sentence were in order of Type 2 > Type 1 > Type 3. Children of Type 3 produced 2.51 clauses per sentence. Children of Types 1 and 2 produced fewer conjunctions and more connective endings than Type 3. Children of Types 1 and 2 produced lengthy speech in the middle area of the story. Various connective endings, conjunctions, and interjections appeared in lengthy speech. There were more syllables, clauses in the retelling task than the telling task.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entences, conjunctions, or connective endings. Conclusions : Lengthy speech reflect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en analyzing language samples, marks of sentence boundaries could be conjunctions, connective endings, interjection (’yə’, ’um’, ’-yo’), word repetitions, pauses, or intonation. But lengthy speech acted negatively for the speaker and listener. Children can be guided to use correct sentences of appropriate length.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1.30.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