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림 장시 「기상도」의 판본 비교 연구
이 글은 김기림의 장시 「기상도」의 다양한 판본 비교를 통해서 텍스트의 원본을 확인하고, 나아가 정본을 확정짓기 위한 기초 작업에 해당된다. 「기상도」에는 3가지 판본이 존재한다. 잡지 『중앙』과 『삼천리』에 연재되었던 최초 발표문(1935)과, 자가본(1936), 해방 이후 간행된 산호장본(1948)이 그것이다. 1) 체재 및 구성, 소제목 등을 비교해보면 시집 형태로 발간된 자가본과 산호장본의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이에 비해 최초 발표문의 경우에는 이후 적잖은 변화가 관찰된다. 2) 반면에 다소 애매한 점이 있기는 하지만, 철자...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시학연구 no. 70; pp. 9 - 4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시학회
01.05.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70.202205.001 |
Cover
Loading…
Summary: | 이 글은 김기림의 장시 「기상도」의 다양한 판본 비교를 통해서 텍스트의 원본을 확인하고, 나아가 정본을 확정짓기 위한 기초 작업에 해당된다. 「기상도」에는 3가지 판본이 존재한다. 잡지 『중앙』과 『삼천리』에 연재되었던 최초 발표문(1935)과, 자가본(1936), 해방 이후 간행된 산호장본(1948)이 그것이다. 1) 체재 및 구성, 소제목 등을 비교해보면 시집 형태로 발간된 자가본과 산호장본의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이에 비해 최초 발표문의 경우에는 이후 적잖은 변화가 관찰된다. 2) 반면에 다소 애매한 점이 있기는 하지만, 철자나 부호 등 표기법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산호장본에 비해 최초 발표문과 자가본 사이의 유사성이 좀 더 눈에 띄는 것이 사실이다. 3) 한편, 시집 발간본인 자가본과 산호장본의 경우 소제목을 포함한 전체 행수는 7부 426행으로 동일하다. 다만 세부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각 부별로 조금씩의 차이가 발견된다. 최초 발표문에서 제시되었던 일부 행이 이후 시집에는 삭제되어 있거나, 일부 구문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그리고 행과 연의 구분이나 배열이 새롭게 조정된 경우들이 있어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이들 세 판본은 각각 그 나름의 특색이 있으며, 또한 상호 보완적인 입장에 놓여 있기에, 본격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세 가지 판본들을 동시에 비교하며 세부적인 사항들을 확인하는 자세가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교육 및 연구 목적을 위한 정본 확정 작업을 위해서는 1936년도에 최초로 시집 형태로 발간된 자가본의 수록 내용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나머지 두 판본과의 대조 작업을 거쳐 「기상도」 정본을 확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article is a basic work to confirm the original version by comparing the various editions of Kim Ki-Rim's long poem ‘Weather Map’ and furthermore, to confirm the authentic version. There are three editions of ‘Weather Map’. These were the first publication(1935), which were serialized in the magazines 'Jungang' and 'Samchully', self-published version(1936), and Sanhojang edition published after liberation(1948). 1) Comparing the format, composition, and sub-titl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self-published book of poetry and Sanhojang edition book is striking.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rst publication, considerable changes are observed afterward. 2)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re are some ambiguities, it is true that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publication and self-published version is more conspicuous compared to Sanhojang edition in terms of notation such as spellings and symbols. 3) And, in the case of self-published version and Sanhojang edition, the total number of lines including the sub-title is the same as 7 parts and 426 lines. However,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each part in detail. Careful attention is required as there are cases where some lines presented in the initial presentation have been deleted in later poetry collections, the positions of some phrases have been changed, and the division or arrangement of lines and stanzas has been newly adjusted. As such, each of these three editions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is in a complementary position. For a full-scale study, it is most desirable to compare the three editions at the same time and check the details. In addition, for the work to confirm the authentic version for educational and research purposes, it is judged that the contents of the self-published in the form of a collection of poems in 1936 are the most important, and efforts to confirm the authentic version of ‘Weather Map’ through comparison with the other two editions I think this is necessary. KCI Citation Count: 4 |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70.202205.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