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작용놀이를 통한 언어중재가 다문화가정아동의 표현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언어발달이 지연된 다문화가정아동을 대상으로 상호작용놀이를 통한 언어중재가 이들의 표현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아동은 외국인 어머니를 두고, 부산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만4~5세 아동 3명으로 하였고 대상 아동에 대한 사전․사후 설계로 실시하였다. 중재는 총 18회기가 실시되었으며 3회기마다 한 번씩 어휘력 검사,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 분석을 통해 변화를 관찰하였다. 평가가 시행되는 회기에서는 중재를 시작하기 전 자유놀이 상황에서 아동의 자발화 표본을 100개 수집한 후 대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0; no. 4; pp. 143 - 161
Main Authors 진순주(Soon Ju Jin), 김화수(Hwa Soo Kim), 신명선(Myung Sun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2.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1.20.4.00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언어발달이 지연된 다문화가정아동을 대상으로 상호작용놀이를 통한 언어중재가 이들의 표현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아동은 외국인 어머니를 두고, 부산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만4~5세 아동 3명으로 하였고 대상 아동에 대한 사전․사후 설계로 실시하였다. 중재는 총 18회기가 실시되었으며 3회기마다 한 번씩 어휘력 검사,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 분석을 통해 변화를 관찰하였다. 평가가 시행되는 회기에서는 중재를 시작하기 전 자유놀이 상황에서 아동의 자발화 표본을 100개 수집한 후 대표적인 발화로 인정되는 50개의 발화를 분석하여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를 관찰하였다. 대상 아동들의 연령 및 수준을 고려하여 본 연구자가 구성한 상호작용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3명의 아동 모두 중재 단계 동안 표현어휘력, 평균발화길이, 어휘다양도가 증가하였으며, 중재가 종료된 2주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이것은 교육, 평가, 치료적인 측면을 지닌 놀이의 특성과 상호작용이라는 실제적 특성이 강조된 상호작용놀이를 통한 언어중재가 환경적 자극이 부족한 다문화가정아동의 언어발달 촉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improvement of their language abilities through interaction play since it is believed that their linguistic development is delayed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our and five years living in Busan with non-Korean mothers.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onducted on all test subject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a fundamental stage, mediation stage, and maintenance stage for a total of 18 times. Changes were observed by analyzing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mean length of utterance, and linguistic variety every third time. At the time when the evaluation was fulfilled, 50 representative utterances out of 100 collected children's vocabulary examples in the free play situation before the intervention was started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and vocabulary variety.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interaction play programs organized by this researcher considering the age and standard of objective children, all three subjects showed increases in expressive vocabulary, mean length of utterance, and vocabulary variety during the intervention. These effects persisted even two weeks after finishing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language intervention conducted by interaction play which emphasizes the realistic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and that focuses on characteristics of play which has aspects of edu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can contribute to promote the linguistic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who have insufficient environmental stimulation.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000939.2011.20.4.007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1.20.4.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