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경험이 있는 일반 및 특수교사 의견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대상학생 고교학점제 운영 방안 탐색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함한 고교학점제의 시행에 필요한 방향성 및 기준, 적용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고교학점제를 실제 운영해 본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고교학점제에 대해 살펴보고, 실제적인 방안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고교학점제를 운영해 본 4명의 일반교사와 6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초점 집단 면접(FGI)을 실시하고, 3단계 코딩 과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결과로는 첫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
Saved in:
Published in | 특수교육논총 Vol. 37; no. 4; pp. 261 - 29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11.2021
특수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21.11.37.4.261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함한 고교학점제의 시행에 필요한 방향성 및 기준, 적용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고교학점제를 실제 운영해 본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고교학점제에 대해 살펴보고, 실제적인 방안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고교학점제를 운영해 본 4명의 일반교사와 6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초점 집단 면접(FGI)을 실시하고, 3단계 코딩 과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결과로는 첫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함한 고교학점제 운영 관련 준비가 미흡하여 의도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고 현장에서 겪고 있는 혼란과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행․재정적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함한 고교학점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역동적인 교육과정 편성․운영, 학생의 개인별 특성의 반영, 실행 주체인 교사 관련 쟁점 해결, 학급 편성의 개념 변화에 따른 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25학년도부터 전면 시행될 고교학점제를 위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을 고려한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concepts underpining the directions, standards, and operation plan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with 4 general teachers and 6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coding process. Resul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unexpected problems arose due to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he need to prepar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to minimize the confusion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field was observed. To stabilize the credit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t was necessary to find ways to realize dynamic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reflec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resolve issues with the teachers, who are the main actors of implementation; and make changes to the concept of classroom organiza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operation plans consider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will be fully implemented starting from 2025 school year,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KCI Citation Count: 7 |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21.11.37.4.2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