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두려움과 회피행동의 관계에 금전동기가 미치는 영향

본 연구 목적은 통증 두려움이 금전동기에 따라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건강한 남녀 80명 대상으로 통증 두려움과 금전동기 조건에 따라 4집단 중 1개 집단에 무선 할당했다. 실험 결과, 고-통증 두려움 집단이 저-통증 두려움 집단에 비해 영상 시청과 과제 수행 동안 자율신경계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또한 통증 두려움과 금전동기 조건에 따라 회피행동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했다. 저-통증 두려움 집단에서는 금전동기 조건에 상관없이 과제 수행 지연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고-통증 두려움 집단에서는 금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7; no. 1; pp. 117 - 124
Main Authors 김분옥(Bun-Ok Kim), 김기성(Kiseong Kim), 신대용(Daeyong Shin), 조성근(Sungkun C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03.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19.27.1.117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 목적은 통증 두려움이 금전동기에 따라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건강한 남녀 80명 대상으로 통증 두려움과 금전동기 조건에 따라 4집단 중 1개 집단에 무선 할당했다. 실험 결과, 고-통증 두려움 집단이 저-통증 두려움 집단에 비해 영상 시청과 과제 수행 동안 자율신경계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또한 통증 두려움과 금전동기 조건에 따라 회피행동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했다. 저-통증 두려움 집단에서는 금전동기 조건에 상관없이 과제 수행 지연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고-통증 두려움 집단에서는 금전동기가 높을수록 과제 수행 지연시간이 유의하게 더 짧았다. 본 연구는 수정된 두려움-회피 모형을 지지하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며 경쟁목표 차단 기제의 발현을 실험적으로 증명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onetary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related fear and avoidance behavior. Methods: 80 healthy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pain-related fear(high or low) and monetary motivation(high or low).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as more active in the high pain-related fear group than the low pain-related fear group.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s of pain-related fear and motivation on avoidance behavior were significant. In the low pain-related fear group, regardless of monetary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delay time performing task but in the high pain-related fear group, when the monetary motivation is high the delay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revised fear-avoidance model, and empirically proves that avoidance behavior can be suppressed even if pain-related fear occurs when valuable goals are protected through goal shielding mechanism.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https://doi.org/10.17547/kjsr.2019.27.1.117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19.27.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