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동기면담 기반 의사소통 훈련의 효과

간호사의 의사소통은 신뢰관계와 간호의 질 보장을 위한 핵심 능력이다.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 3학 년 35명을 대상으로 동기면담기반 의사소통훈련을 시행하였고 훈련 효과를 확인하였다. 4시간 단일 회 기 훈련 후 핵심 기술인 반영하기와 반영의 깊이, 의사소통의 걸림돌과 닫힌질문 등에서 훈련의 성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열린질문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여 향후 이와 관련한 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면담에 대한 자신감은 훈련 후 전반적으로 좋은 성과를 얻었는데 반영하기에 대 한 자신감은 유의미하지 않아 반영하기에 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6; no. 4; pp. 268 - 276
Main Author 김희정(Hee-J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12.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간호사의 의사소통은 신뢰관계와 간호의 질 보장을 위한 핵심 능력이다.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 3학 년 35명을 대상으로 동기면담기반 의사소통훈련을 시행하였고 훈련 효과를 확인하였다. 4시간 단일 회 기 훈련 후 핵심 기술인 반영하기와 반영의 깊이, 의사소통의 걸림돌과 닫힌질문 등에서 훈련의 성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열린질문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여 향후 이와 관련한 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면담에 대한 자신감은 훈련 후 전반적으로 좋은 성과를 얻었는데 반영하기에 대 한 자신감은 유의미하지 않아 반영하기에 대한 학생들의 자신감 고양을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훈 련 방법 중에는 개별, 집단 피드백이 가장 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나 훈련가들의 피드백 역량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MI)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for third-yea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pre and post-test to evaluate a 4–hour MI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This training was offered to 35 third-year nursing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elective psychiatric nursing clerkship course. Each student completed pre and post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assessment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skills as measured by Helpful Response Questionnaire (HRQ). Also confidence (5 items) in using MI based communication knowledge and core skills were included. Data were independently analyzed by two coders and blindly rated the pre and post HRQ self-reported responses.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descriptive analysis. Results: Nursing students showed increasing use of reflection (4.10∼5.67, p<.001), decreasing use of closed-ended question (2.00∼0.73, p<.001), road blocks (2.94∼0.64, p<.001), and improve in depth of reflection (12.79∼20.86 p<.001). But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open-ended question (2.01∼2.33, p=.257). Confidence in the interview has increased overall, except for reflecting.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was quite high, and the most helpful training method was group and individual feedback.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s that 4 hour-training is effective in core skills such as reflection and depth of reflection, and also confidence in intervie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ep-by-step training modules to enhance undergraduate communication skil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training strategy focused on students' confidence in open-ended questions and reflection.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https://doi.org/10.17547/kjsr.2018.26.4.268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18.26.4.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