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더듬 학생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개별 변인에 따라 말더듬 학생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학력, 즉 학사 집단과 석사 이상 집단 간에 지원시스템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석사 이상 집단이 말더듬 학생을 위한 지원시스템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 즉 10년 미만 집단과 10년 이상 집단 간에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2; no. 2; pp. 23 - 4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06.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3.22.2.002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개별 변인에 따라 말더듬 학생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학력, 즉 학사 집단과 석사 이상 집단 간에 지원시스템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석사 이상 집단이 말더듬 학생을 위한 지원시스템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 즉 10년 미만 집단과 10년 이상 집단 간에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경력이 10년 이상의 집단이 부모 혹은 언어치료사와의 상담과 같은 교사의 역할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말더듬 연수 유무, 즉 말더듬 연수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 간에 하위 범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담당학급 내 말더듬 학생 존재 유무, 즉 말더듬 학생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에 말더듬 본질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담당학급 내 말더듬 아동이 있는 집단이 말더듬의 기본적인 특성을 더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말더듬 학생에 대한 특수학교 특수교사들의 인식은 교사의 개별 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는 것으로 결론내릴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special-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age students who stutter, among their individual variables (including educational background, professional work experience, the presence of experience in stuttering related training, and the presence of school-age students who stutter in their class). To do so, 157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worked at special schools in Gumi, Daegu and Busan (South Korea) were given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cial-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of relevant supportive systems depending o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 that is, between bachelor group and master or higher group. Specifically, the master or higher group showed more negative recognition of the relevant supportive systems for school-age students who stutter. Second,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cial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teacher's roles depending on professional career - that is, between the less than 10-year experience group and at least 10-year experience group. The latter group recognized more negatively the roles of teachers such as parent consultation with a speech-language pathologist. Third, it was seen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four subcategori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special-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in stuttering related training - that is, between the trained group and the untrained group. Finally,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cial-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nature of stuttering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school-age students who stutter in their classes - that is, between the group of teachers of classes having any school-age students who stutter and the other group of teachers of classes having no school-age students who stutter. The former group recognized better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stuttering. Taken together, it was concluded that there may be some differences in special-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age students who stutter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variables. KCI Citation Count: 6 |
---|---|
Bibliography: | G704-000939.2013.22.2.006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3.22.2.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