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도시권의 1인 가구 주거이동 및 유입지역 특성 분석 : 직업과 주택 요인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수도권 읍면동을 대상으로 주요이동 요인(직업, 주택)을 구분하여 연령대별 1인 가구의 공간적분포 특성을 비교하고 이동 요인별 유입지역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의주거이동은 기존의 ‘다인 가구’와 비교하여 어떠한 공간적 분포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입지역의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1인가구의 주거이동은 ‘직업’과 ‘주택’ 요인에 따라 어떠한 공간적 분포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동 요인별 유입지역의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1인 가구 내에서 ‘연령층(청년층, 중장...
Saved in:
Published in | 국토계획 Vol. 55; no. 4; pp. 70 - 8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08.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7147 2383-9171 |
DOI | 10.17208/jkpa.2020.08.55.4.70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수도권 읍면동을 대상으로 주요이동 요인(직업, 주택)을 구분하여 연령대별 1인 가구의 공간적분포 특성을 비교하고 이동 요인별 유입지역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의주거이동은 기존의 ‘다인 가구’와 비교하여 어떠한 공간적 분포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입지역의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1인가구의 주거이동은 ‘직업’과 ‘주택’ 요인에 따라 어떠한 공간적 분포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동 요인별 유입지역의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1인 가구 내에서 ‘연령층(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에 따라 어떠한 공간적 분포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입지역의특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위의 질문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서울 대도시권 차원의 1인 가구 주거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As one-person households become the major type of households, the current housing policies try to introduce appropriate measures incorporating such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One-person households can be characterized as having different motivations for migration and their migration characteristics vary by age group.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by age group, analyze migration patterns by two major migration motivations, jobs or housing, and identify influential factors for residential mobility at the Eup·Myeon·Dong leve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2018 migration data from the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MDIS), we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s to identify major determinants of migration with the inflow of one-person household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variables related to population, housing, employment, and infra accessibi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confirm that a much higher share of one-person households migrate for jobs compared to multi-member households, many of which migrate for housing. Better economic environments with more job opportunities attract one-person households, especially young adults. Meanwhile, the current housing policy targeting one-person households appears to be effective, attracting those who migrate for housing. KCI Citation Count: 9 |
---|---|
ISSN: | 1226-7147 2383-9171 |
DOI: | 10.17208/jkpa.2020.08.55.4.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