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연어(連語) 능력
목적: 연어(連語)는 두 개의 어휘요소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긴밀한 관계로 정의된다. 두 개의 어휘는 공기(共 起)관계를 가지고 있고, 출현 빈도가 높고 심리적 현저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과일반가정 아동의 연어 능력을 비교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휘의 화용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3, 4학년의 다문화가정 아동 10명과 일반가정 아동 10명, 총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두집단의 아동 모두 표준화된 어휘검사와 동작성 지능 검사에서 정상범위에 해당하는 아동이었다. 과제는 연어표현...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7; no. 1; pp. 83 - 97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8.27.1.007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연어(連語)는 두 개의 어휘요소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긴밀한 관계로 정의된다. 두 개의 어휘는 공기(共 起)관계를 가지고 있고, 출현 빈도가 높고 심리적 현저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과일반가정 아동의 연어 능력을 비교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휘의 화용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3, 4학년의 다문화가정 아동 10명과 일반가정 아동 10명, 총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두집단의 아동 모두 표준화된 어휘검사와 동작성 지능 검사에서 정상범위에 해당하는 아동이었다. 과제는 연어표현 과제와 연어 이해 과제였다. 표현 과제는 아동에게 사전 문맥을 들려준 후 적절한 연어 관계의 어휘를아동이 말하도록 하는 과제였으며, 이해 과제는 제시된 4개의 문장 중 자연스러운 연어 관계의 문장 하나를선택하도록 하는 과제였다. 연어 과제는 이해와 표현 과제 각각 24문항, 총 48문항이었다. 두 집단의 연어 표현 과제와 연어 이해 과제의 수행력에 대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두 집단의 수행력을 과제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제 수행에서 나타난 오류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결과: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어표현 점수와 연어 이해 점수 모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초등학교 3, 4학년의 다문화가정아동은 동작성 지능과 표준화된 어휘검사에서 정상범위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가정 아동에 비하여 연어 표현 능력과 연어 이해 능력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어휘 중재 시 실제적 사용능력을 고려한 중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urpose: Collocation can be defined as a close relationship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wo lexical elements. The two lexicons constituting collocation have a relationship of co-occurrence, which has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nd high psychological promin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gmatic vocabulary knowledge of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comparing their collocation abilities to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collocation abilitie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10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0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ir vocabulary skills, as measured by standardized test and performance IQ, were in the normal development range. The task consisted of collocation expressive tasks and collocation comprehensive tasks involving natural collocation relation. The children were asked to recite proper words after pre-listening to context words in an expressive task. Then, they were asked to choose one sentence among four in the comprehensive task. The task consisted of 24 questions for each task, or 48 questions in total. Covariance analyses were performed by comparing the collocation expressive abilities and collocation comprehensive abilities of the two groups. Their performing errors were then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covariance analy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expressive task scores and comprehensive task scores. Conclusions: Althoug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 the normal development range in performance IQ and standardized vocabulary tests, the abilities of collocation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were lower than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e use of collocations in real life.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8.27.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