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1980년대 신학생들의 자아정체성 고찰 - 신학교 교지에 실린 글을 중심으로

본 고는 학생운동이 가열되고 학생운동세력이 역사변혁의 중심으로 넓어져 가던 1970-1980년대를 중심으로, 당시 한국의 민주화와 변혁운동 과정과 신학생 들의 사유가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지, 그 중에서도 학생이자 청년이면서 신학생인 그들이 모색했던 자아정체성은 무엇이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신학대 학에서 발간된 교지를 주 텍스트로 하였다. 신학생들은 예언자로서의 직임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삼으며 예언자 인식으로 세상을 교정하고 기존교회를 비판하고 민중에 관심을 구비하는 과정을 보여준 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angsin nondan Vol. 52; no. 3; pp. 279 - 308
Main Author 정경은(CHUNG Kyeong-E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01.09.2020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390
2713-7554
DOI10.15757/kpjt.2020.52.3.01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고는 학생운동이 가열되고 학생운동세력이 역사변혁의 중심으로 넓어져 가던 1970-1980년대를 중심으로, 당시 한국의 민주화와 변혁운동 과정과 신학생 들의 사유가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지, 그 중에서도 학생이자 청년이면서 신학생인 그들이 모색했던 자아정체성은 무엇이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신학대 학에서 발간된 교지를 주 텍스트로 하였다. 신학생들은 예언자로서의 직임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삼으며 예언자 인식으로 세상을 교정하고 기존교회를 비판하고 민중에 관심을 구비하는 과정을 보여준 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신학생들은 자신을 중간자, 요나, 방관자, 도망자, 무의식, 강자를 흉내내는 자 등으로 규정하는 정체성의 혼란을 보여준 다. 본 고는 예언자 인식과 도피자 인식의 공존 요인을 신학생들이 실존적으로 가진 죄인이자 의인의식, 그리고 1980년대 기독학생회의 IT논쟁, 레닌-마르크시즘 혹은 주체사상과 신앙과의 괴리로 보았다. This research centered around the 1970-1980s when the Korea student movement wa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influence of this movement spread to the center of the Korea revolutionary history. This paper reviewed the journals published in the 1970-1980s Korea theological schools to investigate a perception of the theological students depicted in the school journals and the self-identity reformation as a college student, a young adult and a theological student. 1970-1980s,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Christian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mocratization and reform movement of Korea. In this process, the student activists firmly established their identity as ‘revolutionary’ through using the scientific method and organization of the movement. The theological students as a college student showed their identity as a ‘prophet’ which is a theological representation of a revolutionary. Based on the prophetic identity, they criticized their current times and the church, and moved further to an interest of the people. However, the theological students showed a confusion in other identities such as a middleman, bystander, or a fugitive simultaneously. Interestingly, the prophetic and fugitive perceptions coexist. What could be the reason? The first, could be the consciousness of both the righteous and the sinners that the theological students existentially have. The second one could be a discrepancy between the IT debate of the Christian students in the 1980s, the Lenin-Marxism, and the Juche ideology and their Biblical belief. After all, the 1970-1980 could be identified as an identity period of the Christian and Seminary students. KCI Citation Count: 2
ISSN:1229-1390
2713-7554
DOI:10.15757/kpjt.2020.52.3.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