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비 살포 물량 및 농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
GG 액비 살포 물량 및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2017년 4월부터 단국대학교 유리 온실과 2018년 단국대학교 잔디 시험포에서 포장 실험이 수행되었다. 공시초종은 크리핑 벤트그래스 ‘Penn A1’ 품종이 사용되었다. 온실 조건에서 물량 처리는 무처리, 100, 25, 5, 1 mL m-2 로 살포하였다. 포장 조건에서 물량 및 농도를 달리한 물량은 25 mL m-2 (25배액)과 1 mL m-2 처리를 하였으며, 1 mL m-2 처리구의 경우 GG 액비 농도는 원액...
Saved in:
Published in | Weed & turfgrass science Vol. 8; no. 3; pp. 249 - 25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01.09.2019
한국잔디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7924 2288-3312 |
DOI | 10.5660/WTS.2019.8.3.249 |
Cover
Summary: | GG 액비 살포 물량 및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2017년 4월부터 단국대학교 유리 온실과 2018년 단국대학교 잔디 시험포에서 포장 실험이 수행되었다. 공시초종은 크리핑 벤트그래스 ‘Penn A1’ 품종이 사용되었다. 온실 조건에서 물량 처리는 무처리, 100, 25, 5, 1 mL m-2 로 살포하였다. 포장 조건에서 물량 및 농도를 달리한 물량은 25 mL m-2 (25배액)과 1 mL m-2 처리를 하였으며, 1 mL m-2 처리구의 경우 GG 액비 농도는 원액, 2배액, 4배액을 살포하였다. 공시 비료는 미국에서 수입된 액상 복합비료 GG (13-2-3+미량요소)가 사용되었다. 온실 조건 실험에서 잔디 색과 초장은 1, 5 mL m-2 처리구가 100, 25 mL m-2 처리구보다 진한 엽색을 보이고 초장이 길게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품질조사에서는 무처리구를 제외하고는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포장 조건 실험에서도 초장은 1 mL m-2 초저물량 처리구가 대조구인 25 mL m-2 (25배액) 처리구와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뿌리 길이는 모든 물량 및 농도 처리구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뿌리 건물중은 대조구 25 mL m-2 처리구(25배액)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 볼 때 GG 액비를 1 mL m-2 초저물량으로 원액 엽면 살포는 25배액, 배액과 비교 시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장에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1 mL m-2 의 초저물량으로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비배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according to the amount and concentration of 1 mL m-2 liquid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leaf surface. A preliminary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April 2017 at plastic house in Dankook University, Cheonan.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same place in 2018. Creeping bentgrass 'Penn A1' was used in the preliminary and field experiments.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100, 25, 5, 1 mL m-2 of water volumes were applied after diluting 1 mL m-2 GG (13-2-3+trace element) as the liquid fertilizer. In the field experiment, 25 mL m-2 (25x dilution) of water volumes was used as a control, and 1 mL m-2 of different concentrated liquid fertilizer, and three volume levels of undiluted, doubled, and quadrupled solution were sprayed on the leaf surface.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darker visual color and higher plant height were found in 1 mL and 5mL water volumes compared to 100 mL m-2 and 25 mL m-2 treatments. In the field study, 1 mL m-2 undiluted treatment showed best visual quality and higher than control and quadrupled solution treatment. Visual color and plant height significantly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However, their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quality. Root length showed similar tendency in all treatments. The dry weight of roots demonstrated slightly higher in control, but had not indicated in statistical difference. All the results, spraying of the undiluted GG liquid fertilizer on leaf surface with 1 mL m-2 ultra low-volume showed no difference i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when compared with 25 times and 2 times. Therefore, ultra low-volumes of application can be more efficient for creeping bentgrass management with same agricultural aspect.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287-7924 2288-3312 |
DOI: | 10.5660/WTS.2019.8.3.2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