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별한 배우자의 삶의 질에 영향하는 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본 연구는 배우자의 사별을 경험한 자의 삶의 질에 영향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국내ㆍ외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사별, 배우자, 삶의 질과 같은 키워드를 활용하여 논문을 검색하였고,최종적으로 선정된 6편의 논문에 대하여 문헌의 질 평가를 시행하였다. 대상 논문의 출판은 2001∼2010년에 이루어졌고, 총 5개 국에서 연구되었다. 대상자의 삶의 질은 건강 관련 삶의 질, 웰빙, 삶의 만족도등 다양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측정되었다. 삶의 질 영향 요인은 사회생태학적 모델을 활용하여, 개인 내적 요인, 대인관계 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8; no. 4; pp. 254 - 261
Main Authors 노원정(Wonjung Noh), 전송이(Songi J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0.28.4.254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배우자의 사별을 경험한 자의 삶의 질에 영향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국내ㆍ외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사별, 배우자, 삶의 질과 같은 키워드를 활용하여 논문을 검색하였고,최종적으로 선정된 6편의 논문에 대하여 문헌의 질 평가를 시행하였다. 대상 논문의 출판은 2001∼2010년에 이루어졌고, 총 5개 국에서 연구되었다. 대상자의 삶의 질은 건강 관련 삶의 질, 웰빙, 삶의 만족도등 다양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측정되었다. 삶의 질 영향 요인은 사회생태학적 모델을 활용하여, 개인 내적 요인, 대인관계 요인, 조직적 요인, 지역사회 요인, 정책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기반으로 추후 연구 방향과 연구 설계에서 고려할 점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QOL) of spouses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Methods: We searched the literature in four foreign and one domestic databases (Ovid MEDLINE,EMBASE, CINAHL, Cochrane Library, and RISS), using the search terms ‘bereavement’, ‘spouse’, and‘quality of life’. A total of six article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by two researchers. Using thesocial ecological model, we categorized five domains affecting bereaved spouses’ QOL. Results: Studies were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10 and were surveyed in a total of five countries. The QOL of the participants was measured using various measurement tools, such as health-relatedQOL and life satisfaction. Using social ecological models, the factors affecting QOL among bereavedspouses were determined to be individual,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community and policy factors.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oints for consideration are suggested, including the researchdesign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0.28.4.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