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위험 영아의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에 관한 실행연구: 일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를 중심으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을 실행연구로 진행하여,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지원체계를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 조기발견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 6개소 어린이집 영유아 221명이며, 맞춤형 양육지원의 대상은 조기발견에서 선별된 31명의 영아 중, 부모가 참여를 수락한 4명의 영아와 부모, 담임교사이다. 맞춤형 양육지원은 장애위험 영아의 부모와 교사, 연구자가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며 계획-실행 및 관찰-반성의 과정을 순환적인 절차로 반복되는 실행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위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특수교육논총 Vol. 37; no. 1; pp. 227 - 264
Main Authors 김승현(Kim Seung Hyeun), 이병인(Lee Byoung 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2.2021
특수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을 실행연구로 진행하여,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지원체계를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 조기발견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 6개소 어린이집 영유아 221명이며, 맞춤형 양육지원의 대상은 조기발견에서 선별된 31명의 영아 중, 부모가 참여를 수락한 4명의 영아와 부모, 담임교사이다. 맞춤형 양육지원은 장애위험 영아의 부모와 교사, 연구자가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며 계획-실행 및 관찰-반성의 과정을 순환적인 절차로 반복되는 실행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위험 영아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 계획을 위해, 선행연구 고찰, 예비 실행, 전문가 검토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기 발견은 3회기로, 맞춤형 양육지원은 12회기로 지원 절차를 계획하였다. 둘째,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 발견은 모든 영유아의 발달과 양육을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셋째, 장애위험 영아를 위한 맞춤형 양육지원은 실행 및 관찰-반성-계획의 나선형 절차가 반복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매회기 일정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여 가정과 어린이집을 방문하였다. 양육자와 담임교사는 방문이 없는 일상에서도 실행기록지로 활동-중심 중재를 실천하고, SNS로 소통할 수 있었다. 넷째, 맞춤형 양육지원을 통해, 영아, 부모, 담임교사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대상 영아는 발달이 촉진되었으며 부모와 담임교사는 영아의 일상에서 발달촉진을 위한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역량이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는 참여한 대상과 참여하지 않은 대상 모두에게서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장애위험 영아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이 장애위험 영아의 발달을 촉진하거나 장애가 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기 발견은 장애위험 영아를 선별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영유아의 발달 및 양육을 지원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장애위험 영아 조기개입으로 영아의 친숙한 성인인 양육자와 담임교사가 주체가 되어 전문가 협력을 실행하는 지원체계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support systems as an implementation study on early identifica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Method: early identification targets 221 infants and toddlers at six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targets of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are 4 young children,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among 31 young children selected by early identification. The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was conducted as an implementation study in which parents, teachers, and researchers of young children at risk maintained a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the processes of planning-implementation and observation-reflection were repeated in a cyclical procedure. Result: First, the process of reviewing prior research, preliminary implementation, and expert review was conducted for early identifica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plans. Through this process, the application process was planned in 3 sessions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12 sessions for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Second, the early identifica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include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and rearing of all children. Thir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for young children at risk was implemented and repeated the spiral procedure of observation-reflection-plan. To this end, the schedule was managed efficiently for each session and visited families and childcare centers. The caregivers and the classroom teachers were able to practice activity-centered mediation with the performance record sheet even in everyday life without visits and communicate through SNS. Fourth, through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infants, parents, and classroom teachers changed positively. Young children’s development was promoted, and parents and classroom teachers were reinforced in their capacity to seek opportunities to promote development in their daily lives. Finally, the social validity of early identification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showed high results in both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ted subject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arly identification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for young children at risk’ can contribute to normalizing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t risk or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disability. Early identification in this study was an opportunity to support the development and rearing of all children as well as screening children at risk.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early interven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has suggested a support system that is carried out in cooperation with experts, led by caregivers and classroom teachers who are familiar adults of young children. KCI Citation Count: 5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21.02.37.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