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조음복잡성에 따른 조음변이성과 조음비일관성 비교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조음복잡성에 따른 조음오류율, 조음산출의 변이성, 조음오류의 비일관성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검사도구 REVT, PRES, U-TAP, K-CPM을 이용하여 4~5세의 말소리장애 아동 17명, 일반 아동 17명으로 총 34명을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에게 조음복잡성 ‘고’와 조음복잡성 ‘저’에 해당하는 목표단어를 제시하고 각각 4회씩 반복적으로 산출하게 하였다. 조음오류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30; no. 4; pp. 73 - 81
Main Authors 김미진(Mi Jin Kim), 하지완(Ji-Wan H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1.30.4.07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조음복잡성에 따른 조음오류율, 조음산출의 변이성, 조음오류의 비일관성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검사도구 REVT, PRES, U-TAP, K-CPM을 이용하여 4~5세의 말소리장애 아동 17명, 일반 아동 17명으로 총 34명을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에게 조음복잡성 ‘고’와 조음복잡성 ‘저’에 해당하는 목표단어를 제시하고 각각 4회씩 반복적으로 산출하게 하였다. 조음오류율, 조음산출의 변이성, 조음오류의 비일관성에 대한 지표를 구한 후,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간 집단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말소리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조음복잡성에 따른 조음오류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말소리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조음복잡성에 따른 조음산출의 변이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말소리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조음복잡성에 따른 조음오류의 비일관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말소리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조음복잡성 ‘저’ 단어보다 ‘고’ 단어에서 조음오류율, 조음산출의 변이성, 조음오류의 비일관성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조음복잡성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말소리장애 아동의 경우 일반 아동에 비해 조음산출의 변이성과 조음오류의 비일관성이 높으며, 특히 조음복잡성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말소리장애 아동 중재 시 목표 말소리의 주변 음운환경을 고려하여 조음복잡성이 낮은 단어에서 높은 단어로 나아가며 조음산출의 변이성과 조음오류의 비일관성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ortion of articulatory errors (PAE), variation of articulatory production (VAP), and inconsistency of articulation errors (IAE) according to phonetic complexity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 (SSD) an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Methods: A total of 34 subjects, including 17 SSD and TD children each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by using the test tools REVT, PRES, U-TAP, and K-CPM. Subjects produced words with high and low phonetic complexity four times. After obtaining indices for PAE, VAP, and IAE, group comparisons between two groups of children with SSD and TD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the PAE according to phonetic complexity was higher in children with SSD than in TD children. Second, the VAP according to phonetic complexity was higher in children with SSD than in TD children. Third, the IAE according to phonetic complexity was higher in children with SSD than in TD children. Compared to the SSD group, PAE, VAP, and IAE increased sharply in the word high than in the word low in phonetic complexity, and thus were more affected by phonetic complex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VAP and the IAE were higher in children with SSD than in TD children and were particularly affected by phonetic complexity. This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SSD should be approached gradually, taking into account the phonetic contexts of the target sound, moving from words with low phonetic complexity to words with high phonetic complexity, and taking into account the VAP calculation and IAE.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1.30.4.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