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을 이용한 주상골 불유합의 치료
=목 적: 주상골 불유합의 치료를 위하여 원위 요골에서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주상골 불유합으로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을 시행 받은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나이는 평균 29.3세(16-47세), 추시 기간은 평균 19.6개월(12-36개월)이었다. 모든 예에서 원위 요골 부위에서 1, 2 구획 간 상지대 동맥을 이용한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 및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중 근위 골편 출혈을 육안적으로 평가한 결과 완전한 무혈성 골 괴사가 10예(47...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1; no. 5; pp. 871 - 87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10.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Summary: | =목 적: 주상골 불유합의 치료를 위하여 원위 요골에서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주상골 불유합으로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을 시행 받은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나이는 평균 29.3세(16-47세), 추시 기간은 평균 19.6개월(12-36개월)이었다. 모든 예에서 원위 요골 부위에서 1, 2 구획 간 상지대 동맥을 이용한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 및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중 근위 골편 출혈을 육안적으로 평가한 결과 완전한 무혈성 골 괴사가 10예(47.5%)였다.결 과: 21예 중 19예에서(90%) 방사선학적으로 골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머지 2예는 방사선학적으로 골유합 소견이 불확실하나 임상적으로는 유합된 것으로 판단하여 임상적 유합으로 판정하였다. 술 후 방사선학적 골유합까지의 평균 기간은 10.7주(6-16주)였다. 근위 골편이 완전한 무혈성 골 괴사였던 10예 중에서는 8예(80%)에서 방사선학적 유합을 확인하였다. 주상골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한 기능적 및 주관적인 만족도에서 양호 이상이 16예(76%)였다. KCI Citation Count: 4 |
---|---|
Bibliography: | G704-000908.2006.41.5.023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