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illus lateosporus 처리에 따른 포도의 착색 향상

본 실험은 비병원성 박테리아인 Bacillus lateosporus가 포도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캠벨얼리’와 ‘거봉’의 품종간 안토시아닌 함량은 2001년에는 각각 126.13와 27.10μgcm-2, 2002년에는 92.08와 10.18μg·cm-2로 품종에 따라 약 5배에서 9배까지 차이가 났으며 ‘거봉’에서는 해에 따라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acillus lateosporus 엽면시비는 포도에 있어서 안토시아닌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캠벨얼리’는 2000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on'ye gwahag gi'sulji Vol. 25; no. 4; pp. 364 - 368
Main Author 박희승(Hee-Seung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원예학회HST 01.12.2007
한국원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763
2465-858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실험은 비병원성 박테리아인 Bacillus lateosporus가 포도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캠벨얼리’와 ‘거봉’의 품종간 안토시아닌 함량은 2001년에는 각각 126.13와 27.10μgcm-2, 2002년에는 92.08와 10.18μg·cm-2로 품종에 따라 약 5배에서 9배까지 차이가 났으며 ‘거봉’에서는 해에 따라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acillus lateosporus 엽면시비는 포도에 있어서 안토시아닌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캠벨얼리’는 2000년에 57.91에서 89.84μgcm-2로, 거봉은 2001년에 10.18에서 29.65μgcm-2로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되어 과실착색이 불량한 경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품종간의 처리효과 비교에서는 ‘거봉’에서 착색증진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당도와 과실 비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Fruit color improvement in grapes was investigated with the use of Bacillus lateosporus, an avirulent bacterium. The anthocyanin contents of ‘Campbell Early’ and ‘Kyoho’ in 2001 were 126.13 μgcm-2 and 21.10 μgcm-2, and those in 2002 were 92.08 μgcm-2 and 10.18 μgcm-2, respectively. Therefore, different varieties might bring up five to nine times difference in anthocyanin contents and different years could result more than twice difference in ‘kyoho’ grape. Foliar spray of Bacillus lateosporus increased anthocyanin content, which was more effective for the fruits with poor skin color. That is, those foliar application leveled up the anthocyanin content for ‘Campbell Early’ from 57.91 μgcm-2 to 89.84 μgcm-2 in 2000 and for ‘Kyoho’ rose from 10.18 μgcm-2 to 29.65 μgcm-2. However, foliar spray did not influence Brix degree and fruit enlargement.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900.2007.25.4.019
ISSN:1226-8763
2465-8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