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골의 연골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목적: 거골의 연골 병변에 대하여 관절경적 연골 성형술, 미세 골절술 및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시행 후 임상 결과 비교 및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거골의 연골 병변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관절경적 연골 성형술, 미세 골절술 또는 자가 골연골 이식술 시행 후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5명(36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골 성형술이 14예(13명), 미세 골절술이 12예(12명), 자가 골연골 이식술이 10예(10명)에서 시행되었다. 병변의 단계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5; no. 6; pp. 433 - 439
Main Authors 곽희철(Heui Chul Gwak), 김주용(Joo Yong Kim), 최장석(Jang Seok Choi), 김창완(Chang Wan Kim), 김정한(Jung Han Kim), 박대현(Dae Hyun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12.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거골의 연골 병변에 대하여 관절경적 연골 성형술, 미세 골절술 및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시행 후 임상 결과 비교 및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거골의 연골 병변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관절경적 연골 성형술, 미세 골절술 또는 자가 골연골 이식술 시행 후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5명(36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골 성형술이 14예(13명), 미세 골절술이 12예(12명), 자가 골연골 이식술이 10예(10명)에서 시행되었다. 병변의 단계는 단순 방사선 사진 상 Berndt와 Harty 분류 및 Anderson 자기 공명 영상 분류를 사용하였다. 전 예에서 술 전 및 최종 추시에서 VAS score 및 AOFAS score를 측정하여 각각의 술식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평가 및 비교하였다. 병변의 위치, 크기, 단계 및 나이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연골 병변 위치는 외측이 13예, 내측이 23예였으며 연골 병변의 평균 크기는 1.9 cm2 (1-4 cm2)였다. 병변의 단계는 Berndt와 Harty 분류 및 Anderson 분류 2단계가 8예, 3단계가 21예, 4단계가 7예였다. 평균 추시관찰 기간은 15개월(12-30개월)이었으며, 전체 환자에서 VAS score 및 AOFAS score 의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으나, 각 술식 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병변 위치, 크기, 단계 및 나이에 따른 환자 군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연골 성형술, 미세 골절술 및 자가 골연골 이식술 모두 거골의 연골 병변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사료되며, 병변 위치, 크기, 단계 및 나이에 따른 분류에서는 각 군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urpose: To compare clinical results and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results after performing arthroscopic chondroplasty, microfracture, and osteochondral autologus transplantation (OAT) due to a chondral defect of the talu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nrolled 35 patients (36 cases) diagnosed with a chondral defect of the talus and who could be followed over 12 months after arthroscopic chondroplasty, microfracture, or OAT between March 1998 and December 2007. The arthroscopic chondroplasties were carried out in 14 cases (13 patients), the microfractures were carried out in 12 cases (12 patients)and OAT was carried out in 10 cases (10 patients). The lesion staging used Berndt and Harty classification on simple radiographs and Anderson’s classification on magnetic resonance images.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by measuring VAS and AOFAS scores at the time of operation, before the operation, and at the time of follow up. Clinical evaluation included location, size,and stage of each lesion as well as the age of individual patient. Results: There were 13 medial and 23 lateral lesions. The average size of the chondral defects were 1.9 cm2 (range: 1-4 cm2).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erndt and Harty and Anderson, there were 8 stage II, 21 stage III, and 7 stage IV cases.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5 months (range: 12-30 months). VAS and AOFAS scor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treatment groups. However,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operative method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Lesion size, stage and location, as well as of age of patient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clinical result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all three procedures, arthroscopic chondroplasty, microfracture, and OAT, are useful for treating a chondral defect of talus. Location of lesion, size, stage and age of patient did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908.2010.45.6.008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