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판 탈출증 환자에 있어 신경인성 방광 발생의 예측
=목 적: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양상을 분석하여 신경인성 방광의 발생을 알아보고자 한다.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 중 신경인성 방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요역동학 검사를 시행했던 26예에 대하여 자기공명영상으로 추간판이 탈출된 부위의 경막강 전후 직경, 경막강의 단면적을 측정하였으며 요통, 하지의 방사통, 회음부 감각 이상, 배뇨기능, 하지 근력약화 소견과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 과: 총 26예 중 13예(50%)에서 요역동학 검사상 신경...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1; no. 3; pp. 495 - 503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4.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Summary: | =목 적: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양상을 분석하여 신경인성 방광의 발생을 알아보고자 한다.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 중 신경인성 방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요역동학 검사를 시행했던 26예에 대하여 자기공명영상으로 추간판이 탈출된 부위의 경막강 전후 직경, 경막강의 단면적을 측정하였으며 요통, 하지의 방사통, 회음부 감각 이상, 배뇨기능, 하지 근력약화 소견과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 과: 총 26예 중 13예(50%)에서 요역동학 검사상 신경인성 방광으로 진단되었으며, 요역동학 검사에서 신경인성 방광으로 진단된 1군(13예)의 경막강의 전후 직경은 평균 6.8 (4-9) mm였으며, 정상이었던 2군(13예)의 경막강의 전후 직경은 평균 9.0 (8-10) mm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경막강의 전후 직경을 이용한 신경인성 방광 발생의 예측에서 전후 직경이 7 mm에서 69.2%의 민감도와 100%의 특이도를 보였다. 1군의 경막강 평균 횡단면은 74.9 (50-96) mm2, 2군은 86.2 (60-103) mm2였으며(p=0.069), 경막강의 횡단면을 이용한 신경인성 방광 발생의 예측에서 횡단면이 77 mm2에서 61.5%의 민감도와 84.6%의 특이도를 보였다. 임상 증상 중 회음부 감각 이상이 있는 9예에서는 모두 신경인성 방광의 결과를 보였으나 술 전 JOA 점수는 신경인성 방광의 발생과 통계학적인 연관성이 없었다. Purpose: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a neurogenic bladder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in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ho were suspected of having neurogenic bladders, underwent urodynamic testing. The anteroposterior diameters and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dural sacs at the herniated disc levels were measur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Clinically, we evaluated lower back pain, radiating pain, saddle anesthesia, bladder function, motor weakness of the lower limbs, and the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
Results: Thirteen (50%) of the 26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positive neurogenic bladders. The average anteroposterior diameters of the dural sacs in group I (13 cases) with positive neurogenic bladders and in group II (13 cases) with negative neurogenic bladders, were 6.8 (range, 4-9) mm and 9.0 (range, 8-10) mm, respectively (p<0.001). When an anteroposterior diameter of 7 mm was used as the threshold value for differentiation between the anteroposterior diameter of the dural sac and a neurogenic bladder,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61.5% and 100%, respectively. The averag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dural sacs in group I and group II were 74.9 (range 50-96) mm2 and 86.2 (range 60-103) mm2, respectively (p=0.069). When a cross-sectional area of 77 mm2 was used as the threshold value for differentiation betwe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ural sac and a neurogenic bladder,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61.5% and 84.6%, respectively. All 9 patients who had saddle anesthesia were diagnosed with positive neurogenic bladder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preoperative JOA score and the development of a neurogenic bladder.
Conclusion: The anteroposterior diameter of the dural sac and saddle anesthesia might b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the presence of a neurogenic bladder in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908.2006.41.3.013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