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내 상사-부하간 상호신뢰에 관한 연구
조직내 상사와 부하간 대인관계신뢰는 기본적으로 쌍방적 교환관계를 전제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사-부하간 상호신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대인관계신뢰 연구들이 주로 부하의 상사신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일부분의 연구가 상사의 부하연구를 다루고 있을 뿐, 상사와 부하신뢰와 부하의 상사신뢰를 동시에 고려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상사-부하간 상호신뢰에 초점을 두고, 상사-부하간 상호신뢰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군 조직에서의 직속상사와 부하 137쌍(274명)을 대...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경영학회지 Vol. 19; no. 3; pp. 809 - 84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경영학회
01.06.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234 2465-8839 |
Cover
Summary: | 조직내 상사와 부하간 대인관계신뢰는 기본적으로 쌍방적 교환관계를 전제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사-부하간 상호신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대인관계신뢰 연구들이 주로 부하의 상사신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일부분의 연구가 상사의 부하연구를 다루고 있을 뿐, 상사와 부하신뢰와 부하의 상사신뢰를 동시에 고려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상사-부하간 상호신뢰에 초점을 두고, 상사-부하간 상호신뢰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군 조직에서의 직속상사와 부하 137쌍(2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상사와 부하의 성실성은 상사-부하간의 상호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상사의 권한위임과 부하의 체면중시행위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상사-부하간 상호신뢰는 부하에 대한 상사의 반응(경력지원, 커뮤니케이션 개방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상사-부하간 상호신뢰는 부하의 태도(직무만족,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사-부하간 상호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연구한계, 향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studied the antecedents and results of supervisor-subordinate's mutual trust.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137 vertical dyads (274 samples) in the Air Force were particip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supervisor and subordinate's integr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pervisor-subordinate's mutual trust, but supervisor's empowerment and subordinate's social face have not significant effect. Second, supervisor-subordinate's mutual trus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supervisor's responses(vocational support, communicational openness and stress) Third, supervisor-subordinate's mutual trus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subordinate's attitudes(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inally supervisor-subordinate's mutual trust were mediated between the antecedents(supervisor's and subordinate's characteristics) and results(supervisor's responses and subordinate's attitude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provided at conclusion and discussion. KCI Citation Count: 25 |
---|---|
Bibliography: | G704-000789.2006.19.3.013 |
ISSN: | 1226-2234 2465-88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