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시의 미학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프로시는 식민지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적 대응의 형태를 띠고 등장하였다. 카프의 문예운동이 목적의식기로 방향전환하면서부터 프로시는 이전의 신경향파시와는 변별되는 경향을 띠기 시작한다. 그리고 볼셰비키화 방향전환 이후에는 일련의 계급투쟁이나 전위 운동을 담은 시편들이, 진전된 현실 인식을 토대로 하여 집중적으로 창작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프로시의 미학은 마르크시즘의 세계관을 적극 수용하여 계급적 현실 인식과 프롤레타리아의 구체적 생활 묘사를 통해 전대보다 한층 진전된 시적 현실성을 확보해간다. 그 프로시의 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시학연구 no. 38; pp. 127 - 146
Main Author 유성호(Yoo, Sung-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시학회 01.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943
2733-9440
DOI10.15705/kopoet..38.201312.00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한국 근대문학사에서 프로시는 식민지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적 대응의 형태를 띠고 등장하였다. 카프의 문예운동이 목적의식기로 방향전환하면서부터 프로시는 이전의 신경향파시와는 변별되는 경향을 띠기 시작한다. 그리고 볼셰비키화 방향전환 이후에는 일련의 계급투쟁이나 전위 운동을 담은 시편들이, 진전된 현실 인식을 토대로 하여 집중적으로 창작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프로시의 미학은 마르크시즘의 세계관을 적극 수용하여 계급적 현실 인식과 프롤레타리아의 구체적 생활 묘사를 통해 전대보다 한층 진전된 시적 현실성을 확보해간다. 그 프로시의 미학에는 ‘비극성’과 ‘리얼리즘’이라는 내적 원리가 저류에 흐르고 있다. ‘비극성’이란 어떤 이상적 상태를 바라는 주체의 소망이 좌절되고 나서 발생하는 일종의 미적 범주이다. 우리 근대 시사에 나타난 비극성은 식민지 시대의 불가항력적 운명을 승인하면서도 동시에 그에 저항하는 역설에서 생성되어왔는데, 프로시는 이러한 비극성의 맥락과 범주를 한껏 충족하고 있다고 할수 있다. 그런가 하면 프로시는 ‘리얼리즘’이라는 문제적 범주를 제기한다. 당대 현실을 핍진하게 담아내고 인간의 자기 규정성을 시대와의 맥락 속에서 파악하게 해주었다. 이렇게 프로시는 카프 시기는 물론 카프 해체 이후에도 비극성의 시편들로 이어지면서 우리 시의 자장을 넓혀나간다. 이러한 자료들을 미학적 원리로 해명하고 우리 시사에 착근시키는 것은, 이러한 시적 지향에 인색했던 관행을 넘어, 비극성과 리얼리즘이라는 시의문법을 우리 시사의 중요한 육체로 인지해가는 과정이 될 것이다. Proletarian poetry made an appearance as a critical poetic response to the colonization of Korea. It began to take different colors from the previous Anti-Conventional School after a change of direction toward the period with a strong sense of purpose. And after bolshevization, poems on class struggle or avant-garde movement were intensively written based on enhanced awareness of the reality.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aesthetics of proletarian poetry accepted a Marxist view of the world and secured more advanced poetic reality than previous generation through awareness on reality based on clas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proletarian life. In this aesthetics of proletarian poetry, an inner principle of ‘tragedy’ and ‘realism’ is flowing subconsciously. Tragedy is a kind of aesthetic category occurring after the subject’s hope for an ideal situation has been discouraged. Tragedy presented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has been formed with the paradox of recognizing the uncontrollable destin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resisting it at the same time. Proletarian poetry fully fits the context and category of this tragedy. On the other hand, proletarian poetry institutes the problematic category of realism. Proletarian poetry widely writt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continued to push the boundaries of Korean poetry by massively producing poems of tragedy even after the dissolution of KAPF. To explain these texts with aesthetic principles and have them take root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will become the process of perceiving the poetic grammar of tragedy and realism as an important body of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thus overcoming the practice of being too strict on this poetic tendency.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1014.2013..38.001
ISSN:1229-1943
2733-9440
DOI:10.15705/kopoet..38.20131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