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교사의 뇌 선호유형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좌우뇌 선호도와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를 통해서 창의성 증진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뇌 선호유형과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였으며 검사도구는 McCanthy(1993)의 HMI(Hemispheric Mode Indicator)를 류명희(2004)가 번역한 검사와 Torrance(1998)의 자기보고식 창의적 성격검사(WKOPAY)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Pearson의 상관분석과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0(1) Vol. 10; no. 1; pp. 305 - 31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좌우뇌 선호도와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를 통해서 창의성 증진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뇌 선호유형과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였으며 검사도구는 McCanthy(1993)의 HMI(Hemispheric Mode Indicator)를 류명희(2004)가 번역한 검사와 Torrance(1998)의 자기보고식 창의적 성격검사(WKOPAY)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Pearson의 상관분석과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우뇌 선호도가 높아질수록 창의적 인성 및 탐구심은 높지만 자신감은 낮았다. 그러나 뇌 선호도와 권위의 수용, 적극적 상상력 및 타인에 대한 의식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 선호유형에 따라 창의적 인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우뇌 선호형 교사가 창의적 인성이 가장 높았으며 좌뇌 선호형과 통합뇌형 교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뇌 선호유형에 따라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의 차이는 자신감, 탐구심, 타인에 대한 의식에서 유의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으며, 권위의 수용이나 적극적인 상상력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hemispheric mode indicator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were 205 preschool teachers from kindergarten or nursery school in Busan. The McCanthy(1993)'s HMI(Hemispheric Mode Indicator) and Torrance(1988)'s WKOPAY(What Kind Of Person Are You?)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preschool teachers' hemispheric mode indicator and creative personality.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the hemispheric mode indicator of right hemispheric dominanc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inquisitiveness but negatively correlated to self-confidence among elements of creative personality. Second, the creative personal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hemispheric dominance types. That is, the creative personality of right hemispheric domin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eft or exhibit balanced hemispheric dominance but it was no difference between left hemispheric dominance and exhibit balanced hemispheric dominanc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self-confidence, inquisitiveness, and awareness of others but no difference Acceptance of Authority and Disciplined Imagination among elements of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hemispheric dominance types. KCI Citation Count: 13 |
---|---|
Bibliography: | G704-001475.2010.10.1.014 |
ISSN: | 1598-4877 2508-6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