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 및 금리선물시장의 시장효율성 및 선도-지연(Lead-lag)관계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금리와 환율사이의 관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현물시장 대비 레버리지효과(leverage effect)가 존재하는 통화 및 금리선물시장사이의 대칭적․교차적인 정보전달체계와 시장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통화 및 달러선물시장사이에는 장기적인균형관계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물시장보다 현물시장사이의 상호의존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현물과 선물시장사이에는 피드백적인 선도-지연관계가 존재하고 있으며, 선물시장의 현물시장에 대한 가격발견기능이 강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Vol. 22; no. 6; pp. 3361 - 3378
Main Authors 홍정효(Hong, Chung-Hyo), 서선호(Suh, Sun-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12.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234
2465-883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금리와 환율사이의 관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현물시장 대비 레버리지효과(leverage effect)가 존재하는 통화 및 금리선물시장사이의 대칭적․교차적인 정보전달체계와 시장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통화 및 달러선물시장사이에는 장기적인균형관계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물시장보다 현물시장사이의 상호의존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현물과 선물시장사이에는 피드백적인 선도-지연관계가 존재하고 있으며, 선물시장의 현물시장에 대한 가격발견기능이 강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리의 외환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외환시장의 금리변동에 대한 영향력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로부터 국내 통화 및 금리선물시장에서도 다양한 시장마찰(market friction)이 존재함으로써 각 시장이 정보에 비효율적임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기존의 부동산시장 또는 증권시장에 대한 시장효율성을 분석한 연구[홍정효, 문규현(2009), 홍정효(2009)]들과 일맥상통하고 있음으로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has investigated the symmetric and asymmetric information transmission mechanism among Won/Dollar spot and futures market and 3 years' KTB spot and futures markets using the daily closing prices covered from January 4, 2002 to February 6, 2009. For this purpose we employed dynamic time series models such as the Granger causality, variance decomposition based on VECM to test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chanism in currency and interest futures markets.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interdependence between KTB spot and Won/Dollar spot markets is relatively greater than that between futures markets. Second, the KTB and Won/Dollars futures markets have an significant prediction power on the changes of spot markets and vice versa. However, each futures' influence is dominant to the change of cash market at a significant level statistically. Third, we also find that the influence from bond to FX market is relatively strong than that from FX to bond market. From these empirical results we infer that the Won/Dollar and KTB futures markets are inefficient to the information due to a lot of market frictions. We also infer that these empircal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 literatures of Hong and Moon(2009) and Hong(2009) etc.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000789.2009.22.6.028
ISSN:1226-2234
2465-8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