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회사 내 정보공유가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성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가 소속된 증권회사의 특성 중 정보공유환경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증권회사에서 각 산업에 속해있는 재무분석가 수, 각 기업을 담당하는 재무분석가 수 그리고 이익예측정확성이 높은 재무분석가의 보유 여부와 이익예측편의, 이익예측오차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FndataGuide에 포함된 12월 결산 상장 제조 법인을 분석한 재무분석가의 2000-2004년간의 예측치이다. 실증분석 결과, 산업별 재무분석가 수, 기업별 재무분석가 수가 많을수록,...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경영학회지 Vol. 22; no. 3; pp. 1679 - 170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경영학회
01.06.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234 2465-8839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가 소속된 증권회사의 특성 중 정보공유환경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증권회사에서 각 산업에 속해있는 재무분석가 수, 각 기업을 담당하는 재무분석가 수 그리고 이익예측정확성이 높은 재무분석가의 보유 여부와 이익예측편의, 이익예측오차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FndataGuide에 포함된 12월 결산 상장 제조 법인을 분석한 재무분석가의 2000-2004년간의 예측치이다. 실증분석 결과, 산업별 재무분석가 수, 기업별 재무분석가 수가 많을수록, 이익예측정확성이 높은 재무분석가와 동일한 증권회사에 소속되어 있을수록 분석대상기업의 이익에 대해 낙관적으로 예측을 수행하고 이익예측오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산업별, 기업별 재무분석가 수가 많을수록 각각의 재무분석가들이 이해관계가 모여 경영자들에게 정보를 받을 유인이 많거나 거래를 유발시키기 위해 낙관적인 예측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산업별, 기업별 재무분석가 수가 많을수록 공유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기에 예측활동에 사용하는 정보가 늘어 예측치는 정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익예측정확성이 높은 재무분석가와 동일한 증권회사에 소속된 재무분석가의 경우 이익예측을 정확히 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기에 더불어 그 정보들을 사용하는 재무분석가들 역시 예측이 정확해진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즉, 재무분석가들이 정보를 공유하며 이에 따라 정보환경이 동일한 즉, 소속된 증권회사의 특성에 따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성향이 상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재무분석가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것이 이익예측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투자자들이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를 이용함에 있어 증권회사의 정보환경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how brokerage house characteristics(the number of analysts in a industry, the number of analysts in a firm, forecast accuracy of analysts) affect analyst forecast accuracy. We use a sample of Korean Firms included in the FndataGuide database for a five year period from 2000 to 2004.
Our evidence suggests that analyst forecast bias increases with the number of analysts in a industry, the number of analysts in a firm and forecast accuracy of analysts. The increase of analyst forecast bias is consistent with the selective disclosure of material information. And Our evidence suggests that analyst forecast error decreases with the number of analysts in a industry, the number of analysts in a firm and forecast accuracy of analysts. Evidence of empirical test indicates that brokerage house characteristics(the number of industrial analysts, forecast accuracy of analysts) affect analyst forecast.
The characteristics of brokerage houses is one of factors that constitute inform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information environment that can be regarded widely country, or narrowly brokerage house, market participants behaviors might differ thoroughly. Therefore the valuable attempt of this research will be regarded a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brokerage hous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analyst forecast in Korea. KCI Citation Count: 6 |
---|---|
Bibliography: | G704-000789.2009.22.3.019 |
ISSN: | 1226-2234 2465-88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