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소형 금속판 고정으로 치료한 원위 요골 골절

목 적: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이중 소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 및 조기 관절 운동으로 치료 후 임상 결과 및 방사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요골 원위부 골절로 치료받은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는 모두 2.7 mm 나사 및 두 개의 소형 스테인레스강 금속판을 요골의 후방 요측 칼럼 및 중앙 칼럼 위에 60° 정도의 각도로 고정하였다. 기능적 평가는 Green and O’Brien의 평가 지수를 이용하였고, 방사선학적 평가는 요골 전방 경사각 및 척골 변이를 측정하였다. 모든 예에서 관절경을 동시에 시행...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39; no. 4; pp. 397 - 402
Main Authors 김병성(Byung-Sung Kim), 이광원(Kwang-Won Lee), 최원식(Won-Sik Choy), 이성훈(Sung-Hun Lee), 하권익(Kwon-Ick H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8.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 적: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이중 소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 및 조기 관절 운동으로 치료 후 임상 결과 및 방사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요골 원위부 골절로 치료받은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는 모두 2.7 mm 나사 및 두 개의 소형 스테인레스강 금속판을 요골의 후방 요측 칼럼 및 중앙 칼럼 위에 60° 정도의 각도로 고정하였다. 기능적 평가는 Green and O’Brien의 평가 지수를 이용하였고, 방사선학적 평가는 요골 전방 경사각 및 척골 변이를 측정하였다. 모든 예에서 관절경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결 과: 기능적 결과는 양호 이상이 24예(80%)이었다. 전방 경사, 요골 경사 그리고 요골 길이 모두 수술 직후와 골 유합 후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합병증으로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이 1예 있었고, 심한 분쇄 골절로 인한 지연 유합이 1예 발생하여 전방 금속판 고정 및 골이식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금속 내고정물 해리나 실패는 없었고, 금속판으로 인한 신전근 건막염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원위 요골 골절에서 이중 소형 금속판 내고정은 견고하면서도, 조기 관절 운동을 허용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Purpose: To analyze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and early motion after the stable fixation of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by using two small fragment plat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cases were analyzed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Internal fixation was achieved using two 2.7 mm stainless steel small fragment plates on the radial and intermediate columns angled 60° apart in all cases. For functional evaluation, Green and O’Brien scores were analyzed. For radiological evaluation, volar tilting angle, radial inclination, and ulnar variance were analyzed. Arthroscopy was performed in all cases concomitantly. Results: Functional results were excellent or good in 24 patients (80%) according to the modified system of Green and O’Brien. Radi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volar tilting angle, radial inclination or ulnar variance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to bony union perio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lications occurred in two wrists, namely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1) and delayed union (1) needing an additional palmar plate and a bone graft. No case experienced implant failure or extensor tendinitis. Conclusion: Two 2.7 mm small fragment plates fixations provided good stability, and allowed early function. We report a series of 30 fractures treated by this method of internal fixation with satisfactory result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908.2004.39.4.009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