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복에 실패한 하경추 후관절 골절-탈구의 치료
목적: 하경추부 후관절 골절-탈구에서 두개골 견인 및으로 해부학적 정복을 얻을 수 없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정복을 방해했던 구조물을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안전한 정복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하경추부의 신연-굴곡 손상에 의한 외상성 후관절 골절-탈구 환자 중 두개골 견인으로 해부학적 정복을 얻을 수 없었던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수 정복을 방해했던 구조물을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고, 술 전, 후 및 최종 추시의 신경학적 결손 및 회복 정도, 합병증과 술 전, 후 손상부위의 추체-척추관비를 조사하...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5; no. 2; pp. 139 - 145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4.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Summary: | 목적: 하경추부 후관절 골절-탈구에서 두개골 견인 및으로 해부학적 정복을 얻을 수 없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정복을 방해했던 구조물을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안전한 정복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하경추부의 신연-굴곡 손상에 의한 외상성 후관절 골절-탈구 환자 중 두개골 견인으로 해부학적 정복을 얻을 수 없었던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수 정복을 방해했던 구조물을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고, 술 전, 후 및 최종 추시의 신경학적 결손 및 회복 정도, 합병증과 술 전, 후 손상부위의 추체-척추관비를 조사하였다.
결과: 정복을 방해했던 구조물은 탈출된 추간판이 17예였고, 후관절 낭이 2예였다. 이에 대한 수술 방법은 추간판의 위치 및 크기, 척추관 협착의 정도와 후방 구조물의 손상 정도를 분석하여 전방 정복 및 유합술 9례, 전방 정복 및 유합술 후 후방 유합술 2예, 후방 정복 및 유합술 후 전방 유합술 6예, 후방 정복 및 유합술을 2예에서 시행하였다. 운동 및 감각 신경 회복 정도는 술 후 및 최종 추시 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증가를 보였다(p=0.000). 손상 부위의 척수 압박 정도를 평가한 추체 척추관비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증가를 보였다(p=0.000).
결론: 견인에 의해 정복을 얻을 수 없었던 하경추 후관절 골절 탈구에서는 정복 전 MRI 및 CT를 통해 정복을 방해하는 병적 요소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수술 방법의 선택은 환자의 신경학적 상태와 정복 방해 구조물, 기존의 병적 상태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술자의 경험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obstacles preventing a decrease in a facet joint fracture-dislocation of the lower cervical spine after skeletal traction to determine suitable treatment guidelin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19 fracture-dislocation cases of the facet joint in the lower cervical spine who failed closed reduction through skeletal traction.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analyzed: obstacles preventing reduction, neurological recovery, complications and body to canal ratio of the injured site.
Results: The obstacles found on MRI were herniated discs in 17 cases and joint capsule in 2 cases. The surgical decision wa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disc, the degree of spinal canal stenosis and damage of the posterior structures.
Anterior reduction/fusion and posterior fusion after anterior reduction/fusion, anterior fusion after posterior reduction/fusion and posterior reduction/fusion was performed in 9, 2, 6 and 2 cases,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neurological recovery at the final follow-up (p=0.000). The body to canal ratio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 (p=0.000).
Conclusion: For the treatment of unreducible facet joint fracture-dislocation of the cervical spine, pre-reduction MRI is essential for a thorough evaluation of the various underlying pathologies. In addition the surgical methods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not only the neurological status, obstacles and pathologic structures preventing reduction, but also the surgeon's experience.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000908.2010.45.2.011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