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 방사통으로 수술이 예정된 환자에서 실시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5년 추시 결과

목적: 선택적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후 5년 이상 추시하여 그 결과 및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에서 2007년 12월까지 경추부 수술적 치료를 위해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원광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수술전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64.3개월(60- 73개월)이었으며, 나이는 평균 57.7세(37-69세)였다. 신경근 차단술 시행 후 증상이 호전되어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과 신경근 차단술 후 수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1; no. 1; pp. 61 - 68
Main Authors 정호연(Ho Yun Joung), 김태균(Tae Kyun Kim), 오성균(Sung Kyun Oh), 신동진(Dong Jin Shin), 심대무(Dae Moo Sh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선택적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후 5년 이상 추시하여 그 결과 및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에서 2007년 12월까지 경추부 수술적 치료를 위해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원광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수술전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64.3개월(60- 73개월)이었으며, 나이는 평균 57.7세(37-69세)였다. 신경근 차단술 시행 후 증상이 호전되어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과 신경근 차단술 후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군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환자 39예 중 최종 추시까지 20예(51.3%)에서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호전되었으며, 이 중 13예는 추가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받았다. 수술군과 신경근 차단술군에서 시각통증척도 점수는 최종 추시에서 두 군 모두 평균 3.0점, neck disability index 는 수술군과 차단술군에서 각각 최종 추시 평균 11.3점, 13.6점으로 두 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7예(17.9%)는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후 최종 추시까지 다른 치료 없이 증상 호전이 지속되었다. 결론: 선택적 경추 신경근 차단술은 증상의 호전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5-year outcome of patients considering surgery for complaint of cervical and radiating pain treated by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1 and December 2007, 39 cases were selected from patients who underwent SNRB before the operation and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five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4.3 months and the mean age was 57.7 year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operation group and the only cervical SNRB group. The groups were compared for gender, age, duration, disease, single or multi-level, and root compression rate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Results: Among the 39 cases scheduled for the operation, 20 cases (51.3%) did not proceed to the operation and 13 cases among them were treated with additional conservative treatment. The average VAS score for the operation group and the cervical SNRB group was 8.1 points and 7.5 points at the preoperative state and the pre-injection state. After surgical treatment and cervical nerve root block, the scores were 3.0 points for all. The NDI for the operation group was 11.3 points at the last follow-up. The NDI for the cervical nerve root block group was 13.6 at the last follow-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horter duration and younger age tended to show a higher operation rate. At the last follow-up, 7 cases (17.9%) after cervical SNRB had persistent symptom relief without other treatment. Conclusion: Cervical SNRB is considered an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cervical disease with radiating pain and who are scheduled for an operatio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908.2016.51.1.010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