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품질이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효용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가 최초 시행된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총 10년간의 기간을 대상으로 하여 감사품질이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효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 실시가 가져오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이익조정 및 투자자들의 신뢰성, 연차보고의 적시성, 연차이익의 가치관련성, 회계 보수성, 회계투명성 등 여러 각도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와 관련, 실제 분기보고서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는 외부감사인의 감사품질이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경영학회지 Vol. 26; no. 9; pp. 2377 - 2396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경영학회
01.09.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234 2465-8839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가 최초 시행된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총 10년간의 기간을 대상으로 하여 감사품질이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효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 실시가 가져오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이익조정 및 투자자들의 신뢰성, 연차보고의 적시성, 연차이익의 가치관련성, 회계 보수성, 회계투명성 등 여러 각도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와 관련, 실제 분기보고서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는 외부감사인의 감사품질이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실증 분석 결과, 먼저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 실시와 회계투명성 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제도 도입의 취지와 같이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시행으로 인해서 재량적발생액이 감소하여 회계투명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즉, 분기보고서에 대한 검토가 실시되는 경우에는 경영자의 재량적인 이익 조정, 그 가운데에서도 이익상향조정이 억제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분기보고서 검토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분기보고서에 대한 검토를 받은 기간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경우 외에는 장부의 수정을 할 수 없으므로 기말 결산 시점의 분식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정책 도입 취지에 상응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품질이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효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전체 표본을 대형회계법인(BIG4)으로부터 감사를 받는 표본과 그 밖의 감사법인(Non-big4)로부터 감사를 받는 표본으로 나누어서 각각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가 회계투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대형회계법인(BIG4)으로부터 감사를 받는 표본의 경우에는 전체 표본에서 나타난 결과와 동일하게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실시를 통해서 회계투명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그 밖의 감사법인(Non-big4)로부터 감사를 받는 표본의 경우에는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실시 여부가 회계투명성의 증감에 더 이상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계투명성 증가를 위해 도입한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효과에 분기보고서 검토를 실시하는 주체인 외부감사인의 감사품질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2001년 최초 도입 이후 검토 대상 기업을 확대해오고 있는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효과를 외부감사인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효용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우수한 감사품질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이 존재한다. From fiscal year 2001, large firms have been required to be reviewed the quarterly fiscal statements by the external reviewer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udit quality affec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eview of the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and accounting transparency which is proxied by discretionary accruals.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view of the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decreases discretionary accruals. This result means that the review of the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increases accounting transparency.
Second, Big 4 audits which proxy for high audit quality have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eview of the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and discretionary accruals. This shows that the high audit quality increases the effect of the review of the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eview of the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and accounting transparency after introducing other review variable, volatility and total accruals. The results indicate the main results robust.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G704-000789.2013.26.9.011 |
ISSN: | 1226-2234 2465-88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