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관점에서 지역차에 따른 생활시간조사 연구
이 연구는 특정 목적으로 국한되지 아니한 국가 수준의 광범위한 통계조사에서 유추해 볼 수 있는 평생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2009년 통계청에서 시행된 생활시간조사의 마이크로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들의 전체적인 생활시간조사를 분석, 그중에서도 학습관련 시간의 비중과 이와 관련한 생활시간의 배분이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우리나라 성인인구 중 19,826명으로, MANOVA 검증을 통하여 생활시간의 각 유형이 지역과 학습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Saved in:
Published in | 평생학습사회 Vol. 9; no. 2; pp. 77 - 9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01.08.2013
미래원격교육연구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0057 2671-8332 |
DOI | 10.26857/JLLS.2013.08.9.2.77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특정 목적으로 국한되지 아니한 국가 수준의 광범위한 통계조사에서 유추해 볼 수 있는 평생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2009년 통계청에서 시행된 생활시간조사의 마이크로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들의 전체적인 생활시간조사를 분석, 그중에서도 학습관련 시간의 비중과 이와 관련한 생활시간의 배분이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우리나라 성인인구 중 19,826명으로, MANOVA 검증을 통하여 생활시간의 각 유형이 지역과 학습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생활시간의 유형에 따른 지역차 역시 유의한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성인의 학습관련 시간에서 지역에 따른 차이와 학습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가 그들의 삶에서 실재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성인들의 학습기회 확충에 대한 고민과 함께 성인들을 위한 교육부문의 지역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 향후 평생교육 부문의 실천적 함의로 삼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overall time-use analysis using time-us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9 to examine the lifelong educational implication which can be deducted from the state level extensive statistical investigation which is not limited for the specific purpose and tried to find out what kind of differences the ratio of time related to study among them and distribution of living time related to this.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is 19,826 people among the adult population in Korea, and I could discover the meaningful result through the MANOVA verification that each type of time-use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gional differences or whether a subject is studying or not. Furthermore, I could confirm that the regional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s of living time also showed the meaningful level. Through this, the research could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s in study related time of an adult according to the regional differences and whether there is a study experience or not, and the study tried to make it as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future lifelong study part by examining measures which can resolve worries about expansion of an educational opportunity of the adult and the regional imbalance of the educational part for an adult in the future based on this.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SER000015054.2013.9.2.004 |
ISSN: | 1738-0057 2671-8332 |
DOI: | 10.26857/JLLS.2013.08.9.2.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