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주의 화가 이여성, 이쾌대 형제의 예술

영남 태생의 화가 이여성과 이쾌대 형제는 모두 투철한 민족주의자들이다. 반일제의 독립투사로서 학자이자 사상가로서의 길을 걸었던 이여성은 화가로서도 높은 수준의 화풍을 보였다. 동생 이쾌대는 일본의 제국미술학교를 나온 전문 서양화가이다. 특히 이여성은 시인 이상화의 친형 이상정과 함께 대구서양화를 처음으로 일으킨 장본인이다. 독립투사이자 지성인이었던 이여성은 반골의 민족주의자로서 그의 길은 확고했다. 그가 그린 그림에서도 그러한 이념성이 유감없이 표출되어 민족적 견지에서 주제와 화풍을 다루고 있었다. 수묵을 기본으로 한 전통화를 견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학논집 Vol. 51; pp. 219 - 260
Main Author 이중희(李仲熙)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01.06.2013
한국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8902
2671-7492
DOI10.18399/actako.2013..51.007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영남 태생의 화가 이여성과 이쾌대 형제는 모두 투철한 민족주의자들이다. 반일제의 독립투사로서 학자이자 사상가로서의 길을 걸었던 이여성은 화가로서도 높은 수준의 화풍을 보였다. 동생 이쾌대는 일본의 제국미술학교를 나온 전문 서양화가이다. 특히 이여성은 시인 이상화의 친형 이상정과 함께 대구서양화를 처음으로 일으킨 장본인이다. 독립투사이자 지성인이었던 이여성은 반골의 민족주의자로서 그의 길은 확고했다. 그가 그린 그림에서도 그러한 이념성이 유감없이 표출되어 민족적 견지에서 주제와 화풍을 다루고 있었다. 수묵을 기본으로 한 전통화를 견지하면서도 신조류로서 서양화 기법을 과감히 융합시켜 당시로서는 서양화라고 불리기도 했다. 인물을 주로 담아야 하는 역사화 전문의 이여성에게 크게 교시를 받은 동생 이쾌대는 서양화이긴 하지만 역시 인물화에 관심을 가져 끝까지 인물화가로서 입지를 세웠다. 그의 서양화는 특히 민족주의라는 관점에서 설정된 확고한 방향이 있었다. 미술대학을 졸업할 1938년 무렵부터 그의 서양화 방향이 확고해진다. 화풍에서는 한국적인 서양화를 신념으로 하고, 내용에서는 민족 전체의 이슈가 되는 절실한 시대상을 극히 난해한 군상제작 방법으로 표출하려고 했던 것이다. 반드시 한복 입은 한국인을 소재로 하고, 양감 표현을 억제시켜 인물을 평면화시키며, 오방색을 사용하거나 동양화 고유의 윤곽선까지 사용한다. 이러한 시도가 어떤 의도를 의미하는가는 <두루마기 입은 자화상>에서 잘 드러난다. 기념비적인 포즈를 취하여 한복 입은 자신이 한국 땅 위에 당당히 서서 한쪽 손에는 전통화구의 모필을, 맞은 편 손에는 서양화 도구인 팔레트를 쥐고 있다. 곧 동·서양화를 융합시킨 새로운 한국적인 서양화 지향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1945년 이후 해방공간의 짧은 기간에서는 대작의 군상을 집중적으로 그렸다. 여기서도 민족주의자 입장에서 민족전체 문제와 관련된 이슈를 작화하고 있었다. 다만 전체적으로 주제성이 약하긴 하지만, 역동적인 인간군상을 수채화처럼 담박한 맛의 유채화로 승화되어 새로운 한국적인 화풍을 보여주고 있다. 도상적으로 보면 19세기 서구 낭만파 화풍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민족이 처한 시대상황이 과도하게 극화되어 있고, 특정 사건으로 부각되어 있어 지나친 긴박감이 화풍을 지배하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환원하면 회화로 설정된 민족 전체의 냉엄한 시대적 문제가 서구 낭만파와 유사한 극적이고도 감정표현으로 흐른 결점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점이 군상표현에 나타난 이쾌대 리얼리즘의 본질이다. 투철한 민족주의자 이여성, 이쾌대 형제가 한국근대미술사에 남긴 무시할 수 없는 족적은 한국적인 서양화를 의식적으로 지향했다는 점, 그리고 시대이념을 작화에 투영하여 역사화나 역동적인 군상으로 남긴 것에 있다. 특히 화면을 꿈틀거리게 하는 역동적인 군상 대작은 사람을 압도할 만한 기량을 보여준다. Brothers Lee Yeo Sung and Lee Qoe De, nationalism artists of Yeongnam, are completely in consonance especially in terms of implementation of ideology. Lee Yeo Sung, though he painted, lived a life of a scholar and thinker as well as an anti-Japanese fighter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his younger brother Lee Qoe De is a professional artist of Western painting graduated from Teikoku Art School in Japan. In particular, Lee Yeo Sung was one of the two people who developed the Daegu Western painting for the first time along with Lee Sang Jeong. With strong ideology, he stuck to traditional painting based on Indian ink while drastically combining the new trend of Western techniques, due to which his paintings were referred to as Western paintings at the time. In terms of contents, he painted many historical paintings in the national perspectiv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Lee Yeo Sung who specialized in historical paintings that mostly covered figures, the younger brother Lee Qoe De was especially interested in figure paintings though they were in Western style, establishing a solid foothold as a portrait painter. His figure paintings pursued Korean-style Western painting in technique, and embraced the images of the times that were issues of the entire nation through large groups of people. Western paintings by Lee Qoe De undergo a few stages of development process. In the learning stage, he attempted traditional Western oil paintings with thick matiére; but the direction of his Western painting became clear since 1938 when he was just graduating from the Art School. He always painted Korean figures in Korean traditional clothes, turned the figures flat by suppressing the sense of volume, and used the five cardinal colors or outlines unique to Oriental paintings. The intention of this attempt is well displayed in <Self-Portrait Wearing Korean Overcoat>. Wear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he himself holds a monumental pose in the center of the canvas, holding a painting brush of Oriental painting in one hand and a palette for Western painting on the other. This shows the will to pursue the new Korean-style Western painting that converged Oriental and Western paintings. However, in the short period of liberation after 1945, he focused on painting groups of people in masterpieces. Here he was also painting the issues related to the problems of the Korean people in the view of a nationalist. Though the thematic quality is weak in general, he sublimated the dynamic groups of people in oil paintings that are as light as watercolors, showing a new Korean style of painting. The great achievements that Lee Qoe De made in the Korean modern art history are consciously aiming for Korean-style Western paintings and recording the ideology of time in dynamic groups of people. The dynamic groups seem to wriggle around the canvas, displaying an overwhelming skill.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http://web.kmu.ac.kr/actakoreana/
G704-001843.2013..51.005
ISSN:1738-8902
2671-7492
DOI:10.18399/actako.2013..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