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

=목 적: 폐쇄성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에서 골절유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의 상관성, 합병증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2000년 1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치료받은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 91명 중 패혈성 쇼크 및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한 3예를 제외하고,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한 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3세(범위, 36-94세), 평균 추시기간은 16.4개월(범위, 12-36개월)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안정골절이 11예, 역사선 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1; no. 3; pp. 541 - 546
Main Authors 김신윤(Shin-Yoon Kim), 노정호(Jung-Ho N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4.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Loading…
Abstract =목 적: 폐쇄성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에서 골절유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의 상관성, 합병증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2000년 1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치료받은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 91명 중 패혈성 쇼크 및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한 3예를 제외하고,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한 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3세(범위, 36-94세), 평균 추시기간은 16.4개월(범위, 12-36개월)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안정골절이 11예, 역사선 골절 및 전자하부 골절을 포함한 불안정골절이 77예였다. 정복상태, Singh 지수, 지연나사못의 고정위치(Tip-Apex Distance, TAD)에 따른 골유합 기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결 과: 수술시간은 평균 60분(범위, 42-90분)이었고 출혈량은 165 ml (범위, 70-250 ml)이었다. 골유합 기간은 18.4주(범위, 12-40주)였고, 3예에서 불유합 소견을 보였다. 술 후 평균 HHS는 85.3 (범위, 23-99)을 보였다. 만족할 만한 정복이 이루어진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7.0주, 만족할 만한 정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26.7주였다(p<0.05). 불유합이 발생한 3예 모두 정복이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에서 발생하였다. Singh 지수가 3 이하인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9.2주이며, 4 이상인 경우는 16.7주였다. 지연나사못의 TAD가 25 mm 이하인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6.8주이며, 25 mm보다 큰 경우 20주로 두 그룹 간의 차이가 있었다(p<0.05). 합병증으로는 회전방지 나사못의 파열 1예, 골수정 파열 1예, 지연나사못의 후퇴 1예, 대퇴골두 천공 1예가 발생하였다. KCI Citation Count: 3
AbstractList =목 적: 폐쇄성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에서 골절유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의 상관성, 합병증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2000년 1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치료받은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 91명 중 패혈성 쇼크 및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한 3예를 제외하고,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한 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3세(범위, 36-94세), 평균 추시기간은 16.4개월(범위, 12-36개월)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안정골절이 11예, 역사선 골절 및 전자하부 골절을 포함한 불안정골절이 77예였다. 정복상태, Singh 지수, 지연나사못의 고정위치(Tip-Apex Distance, TAD)에 따른 골유합 기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결 과: 수술시간은 평균 60분(범위, 42-90분)이었고 출혈량은 165 ml (범위, 70-250 ml)이었다. 골유합 기간은 18.4주(범위, 12-40주)였고, 3예에서 불유합 소견을 보였다. 술 후 평균 HHS는 85.3 (범위, 23-99)을 보였다. 만족할 만한 정복이 이루어진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7.0주, 만족할 만한 정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26.7주였다(p<0.05). 불유합이 발생한 3예 모두 정복이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에서 발생하였다. Singh 지수가 3 이하인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9.2주이며, 4 이상인 경우는 16.7주였다. 지연나사못의 TAD가 25 mm 이하인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6.8주이며, 25 mm보다 큰 경우 20주로 두 그룹 간의 차이가 있었다(p<0.05). 합병증으로는 회전방지 나사못의 파열 1예, 골수정 파열 1예, 지연나사못의 후퇴 1예, 대퇴골두 천공 1예가 발생하였다. KCI Citation Count: 3
Author 김신윤(Shin-Yoon Kim)
노정호(Jung-Ho Noh)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신윤(Shin-Yoon Kim)
– sequence: 2
  fullname: 노정호(Jung-Ho Noh)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1935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DFLw0AYhg-pYK39D1kEl8Ddd3dpMpZaNVAsSPbjklwkVBNJcHDrULBDB5dCKI0UXHS2KIK_qLn-B0Pt9LzwPLzHqJGkiTpATcCYm7ZD7AZqEgDLBILhCLXzPPYxJoTZDraayN18_-rlxKhm4-3z2th8vutpoVdzXU4MXa714mM7X-5tLQ29mujXl-prvEtXU10Whv4pqrfZCTqM5F2u2nu2kHfR93pX5mB46fa6AzOxKDcDAAj9QBJgFCQDzrliGKRyQisCoKFP6sFCXwLpSOVTyiNqBZQq5vOObdMWOvu_TbJIjIJYpDLe8TYVo0x0bzxXUIthAnV6uk8fs_hehbEUD_WQ2ZO4Hp73MXY62HE4_QOpWW5s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Management of Femoral Peritrochanteric Fracture with Proximal Femoral Nail
DocumentTitle_FL Management of Femoral Peritrochanteric Fracture with Proximal Femoral Nail
EISSN 2005-8918
EndPage 54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64012
NODE00970995
GroupedDBID 5-W
8JR
8XY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TDB
ABDBF
ACYCR
ID FETCH-LOGICAL-n635-c222dbca12432a42555e402ae9d6f223db1d6f4dba217aeb335f36c33e4b57883
ISSN 1226-2102
IngestDate Wed Feb 26 08:58:45 EST 2025
Thu Mar 13 19:39:25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3
Keywords 전자부 골절
Femur
Proximal femoral nail
근위 대퇴 골수정
Intertrochanteric fracture
대퇴골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35-c222dbca12432a42555e402ae9d6f223db1d6f4dba217aeb335f36c33e4b57883
Notes G704-000908.2006.41.3.007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64012
nurimedia_primary_NODE00970995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6-04
PublicationDateYYYYMMDD 2006-04-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06
  text: 2006-04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PublicationYear 2006
Publisher 대한정형외과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정형외과학회
SSID ssib001148906
ssj0064408
ssib051945705
Score 1.5939776
Snippet =목 적: 폐쇄성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에서 골절유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의 상관성, 합병증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2000년 1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치료받은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 91명 중 패혈성...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541
SubjectTerms 정형외과학
Title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97099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19352
Volume 4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06, 41(3), , pp.541-54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NAEF61vcAFgQBRCpWRuqfIyMnazu7RTozSItIDQZST5SepItkoSi6ceohEDz1wqRShBkXiAmcqEBK_qHH_AzNrJ3FLJR4XZ7OemV3PrD3frL2zhGx5Io5CvR6rUYRLckSVqTzQPFWrC-7Vg1DEcvu2Z22z9ULf2TP2Vla3Sl8tDQf-4-DtletK_seqUAd2xVWy_2DZhVCogDLYF45gYTj-lY2pY1G7Tu0GdRpUNCjXK9SxKW_g9wtOk0Kgb2MVUDFqcaTinApZsDQqDMnXzPlkydZlwaKWQAFAIRpXyFyIrBSieM7nUKEhtW0C9cWGkYgXrYiczxayLza1GMgvw2QcvKWcFgiOn6Z9fGmw2x90Ic7H10u_DS0YN7JJIbsKHbax1Vw1lg5Q-nl3P1FfpTDg5SbSYskFF2hQu6wY7CXW1PgOPA_VVlppp905T2maRC9Pk1zQlFTeZYmFzoVsTKoHrZcT5yq35rrIXQUAVxUD5tyTyjqZ15WLwqMU_iVP7FXcR6zkLIziTFT8u5QSXIKM9m7TwbU2AOSNVbLKqrg_hKG-XEJeiGdLGfsBkOtGXVuEgCbuKI6TDvPeAoZK-gC9riVD3D8CHkIlPNW5SW4UgZBi5aP6FlnppbfJ9tn3n9nJSJkdHZy_O1XOvn7ODsfZ9DibjJRscpp9-HJ-fFKchZNKNh1lH9_Pvh1I0ulhNhkr2Y_x7NPRHdJ54nQaLbXY7ENNAPOqAeDU0A88gJus5oEjMYxI12peJEIzBggb-lUo6KHvQQztRT5jRszMgLFI98HpcHaXrCVpEt0jCscchtyPhcnh4kF5sY5hdyAAy4dMC9bJI9CA2wv2Xcytjr-vU7fXdyGC3HaZqQNmWyebC_24b_K8L27ZFvf_RLBBri-H4QOyNugPo4eAXwf-pjTgL9zMgq8
linkProvider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7%BC%EC%9C%84+%EB%8C%80%ED%87%B4+%EA%B3%A8%EC%88%98%EC%A0%95%EC%9D%84+%EC%9D%B4%EC%9A%A9%ED%95%9C+%EB%8C%80%ED%87%B4%EA%B3%A8+%EC%A0%84%EC%9E%90%EB%B6%80+%EA%B3%A8%EC%A0%88%EC%9D%98+%EC%B9%98%EB%A3%8C&rft.jtitle=The+journal+of+the+Korean+Orthopaedic+Association&rft.au=%EA%B9%80%EC%8B%A0%EC%9C%A4%28Shin-Yoon+Kim%29&rft.au=%EB%85%B8%EC%A0%95%ED%98%B8%28Jung-Ho+Noh%29&rft.date=2006-04-01&rft.pub=%EB%8C%80%ED%95%9C%EC%A0%95%ED%98%95%EC%99%B8%EA%B3%BC%ED%95%99%ED%9A%8C&rft.issn=1226-2102&rft.eissn=2005-8918&rft.volume=41&rft.issue=3&rft.spage=541&rft.epage=546&rft.externalDocID=NODE0097099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210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210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210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