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

=목 적: 폐쇄성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에서 골절유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의 상관성, 합병증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2000년 1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치료받은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 91명 중 패혈성 쇼크 및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한 3예를 제외하고,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한 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3세(범위, 36-94세), 평균 추시기간은 16.4개월(범위, 12-36개월)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안정골절이 11예, 역사선 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1; no. 3; pp. 541 - 546
Main Authors 김신윤(Shin-Yoon Kim), 노정호(Jung-Ho N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4.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 적: 폐쇄성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에서 골절유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의 상관성, 합병증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2000년 1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치료받은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 91명 중 패혈성 쇼크 및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한 3예를 제외하고,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한 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3세(범위, 36-94세), 평균 추시기간은 16.4개월(범위, 12-36개월)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안정골절이 11예, 역사선 골절 및 전자하부 골절을 포함한 불안정골절이 77예였다. 정복상태, Singh 지수, 지연나사못의 고정위치(Tip-Apex Distance, TAD)에 따른 골유합 기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결 과: 수술시간은 평균 60분(범위, 42-90분)이었고 출혈량은 165 ml (범위, 70-250 ml)이었다. 골유합 기간은 18.4주(범위, 12-40주)였고, 3예에서 불유합 소견을 보였다. 술 후 평균 HHS는 85.3 (범위, 23-99)을 보였다. 만족할 만한 정복이 이루어진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7.0주, 만족할 만한 정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26.7주였다(p<0.05). 불유합이 발생한 3예 모두 정복이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에서 발생하였다. Singh 지수가 3 이하인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9.2주이며, 4 이상인 경우는 16.7주였다. 지연나사못의 TAD가 25 mm 이하인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6.8주이며, 25 mm보다 큰 경우 20주로 두 그룹 간의 차이가 있었다(p<0.05). 합병증으로는 회전방지 나사못의 파열 1예, 골수정 파열 1예, 지연나사못의 후퇴 1예, 대퇴골두 천공 1예가 발생하였다.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0908.2006.41.3.007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