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의 실태 및 관리방안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백로와 왜가리 집단번식지 훼손에 따른 천연기념물 번식지의 보호와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무안 용월리, 양양 포매리, 통영 도선리, 횡성 압곡리, 여주 신접리, 진천 노원리 지정지역에서 번식지의 실태, 개체수, 대체가능한 서식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번식지역의 훼손은 백로류의 지속적인 분변으로 인해 고사목이 증가하고, 번식지 주변 지역의 환경변화 요인이나 번식지 지정 후 관리미흡 등이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역을 2002년과 2...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류학회지 Vol. 16; no. 1; pp. 37 - 46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류학회
01.05.2009
한국조류학회II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9179 2586-689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백로와 왜가리 집단번식지 훼손에 따른 천연기념물 번식지의 보호와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무안 용월리, 양양 포매리, 통영 도선리, 횡성 압곡리, 여주 신접리, 진천 노원리 지정지역에서 번식지의 실태, 개체수, 대체가능한 서식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번식지역의 훼손은 백로류의 지속적인 분변으로 인해 고사목이 증가하고, 번식지 주변 지역의 환경변화 요인이나 번식지 지정 후 관리미흡 등이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역을 2002년과 2008년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전남 무안을 제외한 백로와 왜가리의 개체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경남 통영 번식지는 현재 백로와 왜가리가 도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지내 백로류 분변으로 인한 고사목의 증가는 영소목의 감소로 나타났다.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의 장기적인 관리방안에 있어 번식지가 훼손될 시 대체가능서식지를 분석하기 위해 번식지 주변 10km이내의 현번식지와 환경이 유사한 지역을 GIS분석을 통하여 고도, 경도, 식생, 번식지와 도로와의 거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번식지별 대체가능한 서식지가 약 3개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current status, number of organisms, and alternative sites in the designated
areas Yongwol-ri in Muan, Pomae-ri in Yangyang, Doseon-ri in Tongyeong, Abgok-ri in
Hoengseong, Sinjeob-ri in Yeoju, and Nowon-ri in Jincheon,from May to September in 2008 in
order to develop plans to protect and manage the habitats of natural monuments to cope with the
damage of the habitats of heron and egret which ar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The
damage of the habitats of speci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was mainly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the excretion of herons continuously killing trees, changes in the environment
around the habitat, and the negligence in management after the habitat designation. The number
of birds counted in 2002 and 2008 were compared by their habitats and the number of herons
and egrets decreased in overall habitats excluding Muan in Jeollanam-do and the habitat in
Tongyeong in Gyeongsangnam-do is currently unvisited by herons and egrets. The increase of
trees killed by the excretion of herons within the habitat led to the decrease of nest trees.
Concerning the long term management plan of heron and egret habitats, the altitude, longitude,
planta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abitat and road of the areas within 10km radius of
current habitats that have the environment similar to current habitats were studied through GIS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alternative habitats that can replace current habitats for serious
damages. The analysis showed approximately 3 possible alternative habitats in each habitat.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SER000010068.2009.16.1.004 |
ISSN: | 1225-9179 2586-68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