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리타』, 루살카, 그리고 창세기

블라지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는 윤리적인 문제를 노출시키는 주인공 험버트 험버트의 고백적 수기이다. 이런 인물의 고백에는 그것의 신뢰성이라는 근본적인 문제가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롤리타는 이 수기의 필자에 대한 연민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집필되고 있다. 독자들이 험버트 험버트에게 동정을 느끼게 된다는 것은 그를 범죄자이자 비윤리적인 주인공-험버트와 비교문학자이자 연민을 자아내게 하는 서술자-험버트라는 두 측면으로 분리시킨 나보코프 예술의 승리를 의미한다.롤리타에 등장하는 교차적인 자기질책과 옹호, 자기비난과 연민은 서술자-험버트의 글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외국문학연구 no. 26; pp. 9 - 31
Main Author 권철근(Kwon Chol-k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01.05.2007
외국문학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444X
2671-830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블라지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는 윤리적인 문제를 노출시키는 주인공 험버트 험버트의 고백적 수기이다. 이런 인물의 고백에는 그것의 신뢰성이라는 근본적인 문제가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롤리타는 이 수기의 필자에 대한 연민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집필되고 있다. 독자들이 험버트 험버트에게 동정을 느끼게 된다는 것은 그를 범죄자이자 비윤리적인 주인공-험버트와 비교문학자이자 연민을 자아내게 하는 서술자-험버트라는 두 측면으로 분리시킨 나보코프 예술의 승리를 의미한다.롤리타에 등장하는 교차적인 자기질책과 옹호, 자기비난과 연민은 서술자-험버트의 글쓰기 전략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는 다양한 요소들을 통해 소극적으로는 주인공-험버트를 혐오스런 범죄로부터 분리시키고, 적극적으로는 연민을 유발시킨다. 서술자-험버트의 이러한 자기정당화를 위한 고안은 롤리타의 제반 요소들을 루살카 모티프와 창세기 모티프의 두 그룹으로 분리시킨다.독자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서양 문화의 기저를 형성하고 있는 익숙한 모티프와 주제에 따라 펼쳐 놓은 서술자-험버트의 서술적 조작을 너그럽게 받아들이고, 그 결과 주인공-험버트가 저지른 범죄마저 연민의 정을 가지고 보게 될 뿐만 아니라, 그의 열정을 진정한 것으로, 광증을 연민어린 비극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루살카와 창세기의 제 요소는 험버트 험버트의 고백에 이러한 측면이 순간적이 아니라 구조적이고, 우연적이 아니라 치밀한 의도와 계산 하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는 징표가 된다.그리하여 루살카와 창세기는 롤리타가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를 단죄하고 롤리타를 이해하는 모습을 보여주려는 험버트 험버트의 진실한 고백록이라는 독자의 표피적이고 그릇된 인식을 타파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그것은 자신이 유혹당한 희생자에 불과하며, 또한 자신을 비극적 사랑의 주인공으로 미화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그의 비열함을 노출하는 장치로 변질되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고백록에서 속임수의 덫을 던지며, 독자들이 여기에 걸려들어 자신의 의도가 관철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서술자-험버트의 이러한 장치는 오히려 그 자신의 비열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종결되고 만다. 그것은 그가 이를 통해 독자들을 현혹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운명의 조종자인 작가의 더 높은 장치에 의해 자신의 고안들이 폭로되고, 그리하여 그 자신이 스스로에게 부여하려고 한 약간의 신뢰성마저 잃어버리게 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험버트 험버트는 서투른 유혹자이고, 그의 자기정당화는 자신의 비열함의 폭로로 귀착된다는 점에서 그는 진정으로 비극적인 인물이 되는 것이다. Vladimir Nabokov’s Lolita is memoirs of a man of middle age who exposes serious ethical problem known as pedophilia. It is highly questionable whether the written statements of this kind will justify the confession of such person, but Lolita is following the fashion of compassion for the narrator. It symbolizes the success of the author of the novel, who distinguishes the compassionate and poetic narrator-Humbert from the criminal and unmoral protagonist- Humbert. The self-reproach and protection, self-criticism and pity in Lolita are the result of narrator-Humbert’s strategy for guiding the readers into compassion for him. For the sake of both presenting in secret such purpose and appealing to readers’ sympathy while camouflaging his inner self, the narrator-Humbert furnishes various exotic as well as emotional element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motif of Rusalka (water nymph) and that of Genesis. The use of Rusalka motif, which makes an essential part of popular Slavic folk-tales, and the Christian motif from the Old Testament, which consists one of the two main origins of Western culture, is consequence of the narrator’s deep considerations. As the protagonist-Humbert seduces Lolita in the storyline of the memoirs, the narrator-Humbert allures readers already moved and dazzled by the above-mentioned elements. Thus, the readers of Lolita are favorably disposed to the protagonist by the result of the narrator’s careful handling of the motifs and subjects, which are very familiar with them living under Western civilization. In this respect, both the motifs of Rusalka and Genesi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the narrator’s innermost intention clear, whose main purpose is self-justification.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0727.2007..26.010
ISSN:1226-444X
2671-8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