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계층별 소비 및 인적자본 예측요소 모형을 이용한 자산가격결정
본 논문은 한국의 도시근로자 가계수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득계층별로 소비 예측요소 모형과인적자본 예측요소 모형을 구성하고, 이들 모형들의 자산가격 설명력이 일반적인 벤치마크 모형들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 분석은 자산위험의 장기분산 가설(Long Run Risk Hypothesis,이하, LRRH)이 소득계층별로 성립하는지를 확인해 줄 뿐만 아니라 상위 소득계층을 중심으로하는 한정적 주식시장 참여 가설(Limited Stock Market Participation Hypothesis, 이하, LMPH)의근거가 존재하는지를 추...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증권학회지 Vol. 42; no. 5; pp. 837 - 86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증권학회
01.12.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8187 2713-5543 |
Cover
Summary: | 본 논문은 한국의 도시근로자 가계수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득계층별로 소비 예측요소 모형과인적자본 예측요소 모형을 구성하고, 이들 모형들의 자산가격 설명력이 일반적인 벤치마크 모형들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 분석은 자산위험의 장기분산 가설(Long Run Risk Hypothesis,이하, LRRH)이 소득계층별로 성립하는지를 확인해 줄 뿐만 아니라 상위 소득계층을 중심으로하는 한정적 주식시장 참여 가설(Limited Stock Market Participation Hypothesis, 이하, LMPH)의근거가 존재하는지를 추가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해준다. 이들 가설들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소비 예측요소 모형 하에서 LRRH의 근거는 존재하였으나 LMPH의 근거는 뚜렷하지않았다. 둘째, 인적자본 예측요소 모형 하에서 LRRH의 근거와 LMPH의 근거는 모두 다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30년간 우리나라 소득계층별 소비와 소득에서 나타난 특징적 현상, 즉소득계층별로 차별화된 소비의 변동성과 소득원천의 분화 심화 등에서 기인하였다. 소비와 소득의이러한 특징은 향후 우리나라 자산시장의 성장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 정책과제들을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long-run consumption expectation factor model and human capital expectation factor model by income classes based on a Korean microeconomic database. In the empirical specification of these models, we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these models over sixteen Fama-French size and book-to-market portfolios in KRX (Korean Exchange) as test assets exceeded that of benchmark models such as CAPM,Fama-French three factor model, or CCAPM. This analysis enables one to test the long-run risk hypothesis (LRRH) and the limited stock market participation hypothesis (LMPH)by income class under each model. The main test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for LRRH but for LMPH via the consumption growth factor model. Second, data is supportive for both of LRRH and LMPH via the human capital factor model. These results are followed by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consumption and labor income of each income class over the last thirty years in Korea, namely, the differentiated volatility of consumption and the differentiated sources of income by each income class. These features of consumption and income in Korea suggest the task that the policy authority should pursue in the growth process of the Korean asset market.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www.iksa.or.kr/ G704-SER000000670.2013.42.5.001 |
ISSN: | 2005-8187 2713-55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