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
본 연구는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을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은 최종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 1. 직면해 있는 과중한 환경, 범주 2. 변할 것 같지않은 현실, 범주 3. 자타에 의한 부담감, 범주 4. 극복을 위한 노력, 범주 5. 보다 나은 업무 환경을 위한 바람이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은 의료인을 위한 직무스트레스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로활용되어 질 것이다. 또한 기존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간호사와 의사를 대상으로...
Saved in:
Published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1; no. 2; pp. 131 - 139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스트레스학회
01.06.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665X 2234-1668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을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은 최종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 1. 직면해 있는 과중한 환경, 범주 2. 변할 것 같지않은 현실, 범주 3. 자타에 의한 부담감, 범주 4. 극복을 위한 노력, 범주 5. 보다 나은 업무 환경을 위한 바람이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은 의료인을 위한 직무스트레스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로활용되어 질 것이다. 또한 기존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간호사와 의사를 대상으로 한 현상학적 연구로써 차후 질적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purpose to understand job stress experienced by nurses and doctors and explain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ir job stress-coping. In-depth interviews of 14 participant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Colaizzi (1978) method.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1) Confronting Burdensome Atmonsphere, 2) Being Likely to Remain Unchanged Reality, 3) Pressure from Both Oneself and Others 4) Efforts for Overcome 5) Wish for Better Work Environmen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for laying the foundation required to develop a job stress intervention model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by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structure of job stress-coping experienced by nurses and doctor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ir job stress-coping experiences. (Korean J Str Res 2013;21:∼139) KCI Citation Count: 10 |
---|---|
Bibliography: | G704-002182.2013.21.2.005 |
ISSN: | 1225-665X 2234-16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