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측 접근법을 이용한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의 수술적 정복 : 단기 추시 결과
목 적: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DDH)에서 내측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적 정복술의 치료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측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적 정복술을 시행받은 DDH 환아 중 2년 이상 추시한 3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방사선 검사를 분석하였다.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11.4개월(범위, 4-22), 평균 추시 기간은 88개월(범위, 24-168)이었다. 수술 전후의 인자와 수술 후 재탈구 여부, 비구지수와 중심비구 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 과: 비구 지수는 술 전 평균 35도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16도로, 중심...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4; no. 6; pp. 627 - 633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12.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 적: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DDH)에서 내측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적 정복술의 치료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측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적 정복술을 시행받은 DDH 환아 중 2년 이상 추시한 3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방사선 검사를 분석하였다.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11.4개월(범위, 4-22), 평균 추시 기간은 88개월(범위, 24-168)이었다. 수술 전후의 인자와 수술 후 재탈구 여부, 비구지수와 중심비구 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 과: 비구 지수는 술 전 평균 35도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16도로, 중심비구 각은 수술 1년 후 평균 7도에서 최종 추시 시 22도로 향상되었다. 2차 수술을 하였던 경우는 15예로 평균 4.4세에 시행하였다. Kalamchi 제1군의 무혈성 괴사가 8예에서 발견되었고 최종 추시 시 6세 이상인 환자 21명 중 Severin 분류의 I 혹은 II가 18예, III가 3예였다. 재탈구는 1예가 있었다.
결 론: 내측 접근법은 DDH에서 최소의 조직 박리를 통해 정복을 방해하는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선별적으로 사용하면 유용한 치료 방법이다. Purpose: We report the outcomes of medial open reduction for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DDH).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33 DDH cases treated by a medial open reduction and followed for at least two years. The mean age at surgery and follow-up duration was 11.4 months (range, 4 to 22) and 88 months (range, 24 to 168), respectively. The perioperative parameters, maintenance of reduction, and postoperative changes in the acetabular index and center-edge angle were recorded.
Results: The acetabular index decreased from a preoperative average of 35o to 16o at the latest follow-up. The center-edge angle improved from an average of 7o at postoperative 1 year to 22o at the latest follow-up. A secondary bony procedure was performed in 15 cases at average age of 4.4 years. Avascular necrosis was noted in 8 cases, all of whom belonged to Kalamchi group I. Among the 21 patients over 6 years-old at the latest follow-up, 18 belonged to Severin groups I or II and the remaining 3 to group III. Redislocation occurred in one case.
Conclusion: A medial open reduction is a minimal surgical procedure that can effectively release the structures obstructing a femoral head reduction. It should be a useful treatment modality for selected cases with DDH.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908.2009.44.6.005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