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익률에 대한 비대칭적 디스포지션 효과

Grinblatt and Han(2005)은 디스포지션 효과에 의한 거래로 인하여 미처분 이익(손실)이 증가할수록 주가는 저(고)평가되고 기대수익률은 증가(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본연구는 이 현상이 미처분 이익의 부호에 따라 비대칭적으로 발생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한국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현상은 미처분 이익이 음수(즉, 미처분손실 상태)일 경우에는 관측되지 않았으나, 미처분 이익이 양수일 경우에는 유의하게 관측되었다. Weber and Welfens(2008), Feng and 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증권학회지 Vol. 42; no. 5; pp. 813 - 836
Main Authors 오승현(Seung Hyun Oh), 한상범(Sang Buhm Hah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증권학회 01.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8187
2713-554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Grinblatt and Han(2005)은 디스포지션 효과에 의한 거래로 인하여 미처분 이익(손실)이 증가할수록 주가는 저(고)평가되고 기대수익률은 증가(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본연구는 이 현상이 미처분 이익의 부호에 따라 비대칭적으로 발생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한국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현상은 미처분 이익이 음수(즉, 미처분손실 상태)일 경우에는 관측되지 않았으나, 미처분 이익이 양수일 경우에는 유의하게 관측되었다. Weber and Welfens(2008), Feng and Seasholes(2005)는 이익 실현 추구 성향과 손실 실현 회피성향은 상이한 특성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는데, 한국 주식시장에서 미처분 이익이 비대칭적으로기대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현상은 이들의 연구와 부합한다. 기타의 관측된 세부 사항들은 다음과같다. 첫째, 음(-)의 미처분 이익(즉, 미처분 손실)은 기대수익률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나 양(+)의미처분 이익은 기대수익률과 양(+)의 관계를 가진다. 둘째, 미처분 이익과 거래량회전율을 곱한변수(gV_ )도 기대수익률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기대수익률에 대한 미처분 이익의 비대칭적설명력과는 상호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gV_가 설명변수로 추가되면 미처분손실(즉, 음의 미처분 이익)이 증가할수록 기대수익률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 결과는 투자자들의 로스컷 거래에 의해 주가 저평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rinblatt and Han (2005) claim that the expected return of a stock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unrealized capital gains on the stock due to the disposition effect of irrational investors’ trading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expected return and unrealized capital gains depends on the sign (+ or -) of the unrealized capital gains in two Korean stock markets (KSE and KOSDAQ). We fin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returns and positive unrealized capital gains, whereas no relation between returns and negative unrealized capital gains. The asymmetric relation found in Korean Markets corresponds with the results of Weber and Welfens (2008) or Feng and Seasholes (2005) reporting that individual investors’ reactions towards “selling winners” and “holding losers” are very different. We have three major results. First,positive unrealized capital gains are more strongly related with expected returns than negative unrealized capital gains are. Second, the variable produced by multiplying unrealized capital gains and trading volume (gV_) may explain the returns irrespective of positive unrealized capital gains. Third, when the variable gV_ is added to the set of explanatory variables, return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size of the unrealized capital loss. This phenomenon may be generated by the ‘loss-cut’ trading which is triggered by risk management system of an institutional investor or overreaction of an irrational individual investor.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http://www.iksa.or.kr/
G704-SER000000670.2013.42.5.004
ISSN:2005-8187
2713-5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