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황에 따른 펀드의 성과평가 및 그 활용방안 연구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과평가지표들은 공통의 위험요인을 배제하여 매니저의 운용능력을 측정하고 있으나 이는 매니저들이 시장상황과 무관하게 동일한 성과를 얻을 것이라는 점을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펀드매니저의 능력이 경제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Kacperczyk et al.(2013)이 제기한 방법론에 따라 국내주식시장에서 주식형 펀드 운용자들의 능력별 상대적 우월성이 경기국면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남을확인하였다. 즉 경기수축기에는 마켓타이밍 능력이 더 높게 나타나고 경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증권학회지 Vol. 44; no. 1; pp. 93 - 126
Main Authors 신중철(Jung Cheol Shin), 정문경(Mun Kyung Cheong), 황정욱(Jeong Wook Hw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증권학회 01.0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8187
2713-554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과평가지표들은 공통의 위험요인을 배제하여 매니저의 운용능력을 측정하고 있으나 이는 매니저들이 시장상황과 무관하게 동일한 성과를 얻을 것이라는 점을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펀드매니저의 능력이 경제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Kacperczyk et al.(2013)이 제기한 방법론에 따라 국내주식시장에서 주식형 펀드 운용자들의 능력별 상대적 우월성이 경기국면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남을확인하였다. 즉 경기수축기에는 마켓타이밍 능력이 더 높게 나타나고 경기확장기에는 종목선택능력이 평균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를 반영한 Kacperczyk et al.(KNV)의 성과평가지표를 산출하고 우수한 KNV 성과지표를 나타내는 펀드들을 분석하여 KNV 지표의 유효성, 예측성그리고 지속성을 확인하였다. 다만 국내 우수 주식형 펀드 운용자들은 경기국면별로 종목선택능력과 마케팅능력을 변화시키기 않고 특정 운용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우수한 펀드를 선택하고자 하는 투자자 또는 우수 위탁운용사를 선정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가 투자결정과 전략적 의사결정에 있어 참고지표로써 이를 활용해 볼 수있으리라고 기대한다. Widely used mutual fund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s by Jensen (1968), Famaand French (1993), and Carhart (1997) are risk-adjusted measures assuming that alphacan be achieved regardless of the economic situations such as recessions or expansions. On the other hand, Kacperczyk, Nieuwerburgh and Veldkamp (2014) developed a performanceevaluation measure (KNV measure) that captures the fund manager skills duringthe recessions and expansions. In this study, we utilize KNV measure to evaluate performanceof publicly traded domestic mutual funds. First, we fi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isk-adjusted returns ofdomestic mutual funds in recessions and those in expansions. Market timing skill is morerelevant during recessions whereas stock selection skill is during expansions. Second, we find that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superior funds and inferior fundsare persistent over a 12-month period. Also, the combined performance measure includingthe market timing and stock selection is significant in selecting superior fund managers. Finally, we find no evidence that the same fund managers who show superior stockselection skill during expansions also do superior market timing skill during recessions. Such a finding is different from the study of Kacperczyk, Nieuwerburgh and Veldkamp(2014).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http://www.iksa.or.kr/
G704-SER000000670.2015.44.1.003
ISSN:2005-8187
2713-5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