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에서 고관절 골절과 골밀도의 상관관계
목적: 노년층에서 통증, 장애 등을 초래하는 근위 대퇴부 골절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골밀도의 감소, 골다공증은 이러한 근위 대퇴부 골절과연관된 인자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저자들은 근위 대퇴부 골절이 발생한 노년층에서 골밀도를 측정하여 골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대퇴 경부 골절이 있는 60명, 전자간 골절이 있는 82명을 대상으로 DEXA를 이용한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대퇴부의 경부와 전자부에서 측정하였으며, 본원 건강 검진 센터에서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근위 대퇴골의 골절이 없었던 158명을 대조군으로...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5; no. 3; pp. 228 - 233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Summary: | 목적: 노년층에서 통증, 장애 등을 초래하는 근위 대퇴부 골절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골밀도의 감소, 골다공증은 이러한 근위 대퇴부 골절과연관된 인자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저자들은 근위 대퇴부 골절이 발생한 노년층에서 골밀도를 측정하여 골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대퇴 경부 골절이 있는 60명, 전자간 골절이 있는 82명을 대상으로 DEXA를 이용한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대퇴부의 경부와 전자부에서 측정하였으며, 본원 건강 검진 센터에서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근위 대퇴골의 골절이 없었던 158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들을각각 성별 및 골절 유형에 따라 나눈 후 비교분석을 하였다.
결과: 근위 대퇴부 골절군에서 대조군 보다 골밀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대퇴 전자간 골절의 골밀도는 대퇴 경부 골절의 골밀도 보다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대퇴 경부 골절과 전자간 골절군에서 각각 형태에 따른 골밀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노년층 근위 대퇴부 골절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하여 골밀도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남성에서 발생하는 대퇴 경부 골절은 감소된 골밀도와연관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근위 대퇴부 부위별 골밀도는 골절의 위치 및 유형과 연관성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incidence of hip fracture associated with disability, pain and death increases in old age. The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particularly due to osteoporosis, has been described as one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ximal femur fracture. Therefore,this study, measured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of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proximal femu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bone densities of the femoral neck and trochanteric region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in 60 patients with femur neck fractures and 82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dividuals (158subjects) who had their BMD checked in a Health promotion center without a proximal femoral fracture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type of fracture.
Results: The BMD of the hip in the patients with proximal femur fractures was signifi 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subjects.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 had a lower T-score than the femur neck fracture group.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 cant. No signifi 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displaced and undisplaced femur neck fracture groups and between the stable and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s.
Conclusion: The BMD in elderly patients with proximal femur fracture was signifi 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poorer association between a decreased BMD and femur neck fractures in elderly males. There were no association between the BMD and location of the fracture or fracture type.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000908.2010.45.3.008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