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보건의료인력의 공간적 분포 특성 분석

본 연구는 공공보건의료 영역에서 인력의 공간적특성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연구는 지역 구성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의료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기존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에 초점을 둔 연구는 의료자원 규모에 대한 고려가 미약한 바,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접근성 측정에서 의료자원의 규모를고려한다. 의료자원 규모를 고려한 접근성 분석에널리 이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2SFCA(two-stepfloating catchment area) 및 이를 변형한 방법이다. 본 연구는 2SFCA를 개선함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토계획 Vol. 49; no. 8; pp. 161 - 174
Main Authors 김종근(Kim, Jong-Geun), 홍인표(Hong, In-Pyo), 이종찬(Lee, Jong-Chan), 김춘배(Kim, Chun-Bae), 이원재(Lee, Won-Jae), 고은비(Ko, Eun-b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12.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4.12.49.8.16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공공보건의료 영역에서 인력의 공간적특성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연구는 지역 구성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의료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기존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에 초점을 둔 연구는 의료자원 규모에 대한 고려가 미약한 바,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접근성 측정에서 의료자원의 규모를고려한다. 의료자원 규모를 고려한 접근성 분석에널리 이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2SFCA(two-stepfloating catchment area) 및 이를 변형한 방법이다. 본 연구는 2SFCA를 개선함에 있어 의료서비스수요의 공간적 재현에서 분석단위 설정에 따른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간적 단위를 설정하여 기존 방법을 향상하고자 한다. 기존 의료공급 체계의기준이 된 행정구역은 의료기관의 실제 영향권이나편익 발생 구역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기본단위로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의료자원에 대한 사회집단의 접근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유사한 사회적 결핍상태를 보이는 군집 내 및 군집 간 공공및 민간보건의료 자원에 대한 접근성의 비교분석을수행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and hierarchy of publichealthcare personnel.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comparing the differences andsimilarities of dissimilar social groups’ spatial accessibility to public and private healthresources. Innovative approaches to minimizing ecological fallacies that may have beenintroduced in representing demands for healthcare service are suggested, which includeutilization of spatial units that reflects population distribution more realistically. In addition,spatial clusters of similar social status are identified, where classification of social status isdivided based on deprivation levels. Aggregated spatial accessibility to public and privatehealth personnel is compared both within and between social group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national public healthcare personnel and health demandindicate that proper appraisal of the accessibility to public healthcare personnel requires morethan mere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demand population. More importalty, the sizeand location of the health resources, geographical distance or ease of transportation, andother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the essential elements to account for. Polarization in theaccessibility to national and public healthcare personnel is observed both within and betweenthe social groups who have similar social deprivation status. KCI Citation Count: 5
Bibliography:G704-000338.2014.49.8.013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4.12.49.8.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