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티브펀드의 종목선택능력과 정보처리능력에 대한 검증

본 연구에서는 2001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표본으로 선정된 588개 국내 액티브펀드에대하여 펀드성과 분해분석을 통해 펀드매니저의 종목선택능력이 펀드성과의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보였으며, 또한 그것이 펀드매니저의 우월한 정보처리능력에 기인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펀드의 월수익률에서 종목선택능력에 기인하는 부분(CS)은 평균 0.94%에 달하는 매우 유의한 값이며, 그 밖에 타이밍능력이나 투자스타일에 기인하는 부분에 비해 각각 0.96%와 0.2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펀드 성과의 종목선택능...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증권학회지 Vol. 42; no. 3; pp. 493 - 527
Main Authors 고봉찬(Bong Chan Kho), 김진우(Jin W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증권학회 01.06.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8187
2713-554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2001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표본으로 선정된 588개 국내 액티브펀드에대하여 펀드성과 분해분석을 통해 펀드매니저의 종목선택능력이 펀드성과의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보였으며, 또한 그것이 펀드매니저의 우월한 정보처리능력에 기인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펀드의 월수익률에서 종목선택능력에 기인하는 부분(CS)은 평균 0.94%에 달하는 매우 유의한 값이며, 그 밖에 타이밍능력이나 투자스타일에 기인하는 부분에 비해 각각 0.96%와 0.2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펀드 성과의 종목선택능력에 기인하는 부분(CS)을 다시 재분해하여 기존 주식포지션에서 발생하는 수익률 부분(CSO)과 월중 주식거래로 인해 발생하는 부분(CST), 그리고 월중 펀드자금 유출입에 기인하는 부분(CSA)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CS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0.89%가 기존주식포지션에 기인하는 부분(CSO)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펀드 성과의 종목선택능력(CS)이 정보처리능력과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펀드 보유종목의 정보거래량 비중을 반영하는 펀드 PIN을 대용변수로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펀드 PIN이 증가할수록 CST는 단조 증가하여 유의한 성과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S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CSO는 펀드 PIN과 무관하게 나타남으로써 CS가 펀드매니저의 정보처리능력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stock selection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for mutual fund performances in Korea, and tests whether the stock selection ability is rela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of mutual fund managers. Using the monthly fund return and fund portfolio data of 588 Korean active funds provided by Zeroin from January 2001 to June 2011, we decompose the monthly fund returns into 3 components: returns from stock selection ability (CS), returns from market timing ability (CT), and returns from fund investment style (AS), which follows the method of Daniel, Grinblatt, Titman, and Wermers (DGTW, 1997). The results show that the monthly average of CS is significantly positive, 0.94%,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T and AS by 0.96% and 0.29%,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stock selection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for mutual fund performances in Korea. Next, we further decompose the stock selection ability (CS) into 3 components: returns from existing fund portfolio position (CSO), returns from stock trading during 1 month (CST), and return adjustment due to fund flows during 1 month (CSA). The results show that the monthly averages of CSO, CST and CSA are 0.89%, 0.07%, and -0.03%, respectively. So, we conclude that most of the CS comes from the existing fund portfolio position (CSO). Finally,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stock selection ability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of active fund managers, we estimate the probability of informed trading(PIN) of individual stocks for each month and then calculate the weighted-average PIN of each active fund (Fund-PIN). The results show that the monthly average CST is increasing as the Fund-PIN is increasing, whereas CSO that consists of large part of CS is not related to the Fund-PIN.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stock selection ability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of active fund managers.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SER000000670.2013.42.3.004
http://www.iksa.or.kr/
ISSN:2005-8187
2713-5543